You’re the wrong guy in the wrong place at the wrong time.

육하원칙에 따라 궁금증 해소하기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1] Yippi-kay-ay 또는 Yippee-ki-yay라고 쓰는 이 말은 특별히 의미는 없이 서부 시대에 카우보이들이 밤에 코요테(coyote)를 향해 부르던 노래말이라고 한다.


“You’re the wrong guy in the wrong place at the wrong time. 넌 잘못된 시간에 잘못된 장소에 나타난 잘못된 인간이야.” 이 예문에서 보듯이 우리말은 시간개념이 포함된 말이 먼저 나와야 자연스럽다. 반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보통 시간의 표현을 맨 나중에 한다. 한국사람들에게 시간이 매우 중요한 개념일지도 모른다. 많은 경우 장소보다 앞서는 것은 물론 문장의 맨 앞부분에 위치하여 시간적 맥락을 먼저 제시하기도 한다. 반면, 영어에서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이 문장의 일반적으로 뒷부분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오늘 저녁에 친구를 만날 거예요”라고 말할 때 “오늘 저녁에”라는 시간 표현이 문장의 맨 앞에 온다. 반면, 영어로는 “I will meet a friend tonight”라고 하여, “tonight”라는 시간 표현이 문장의 끝에 위치하는 경우다. 이를 정리한 것이 우리의 하나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어순식이다.



S+V + (who+what) + [where+why+how+when]

중요성이 떨어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시간에 대한 표현은 영어 표현의 궁금증 순위에서는 늘 하위인 것만은 틀림없다. 어쩌면 동사에 시간에 대한 암시가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여하튼 시간을 표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때를 의미하는 부사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런 단어가 없다면 장소의 부사를 만드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치사를 이용해 스스로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보통 day, night, morning, yesterday, today, tomorrow 등 시간 개념이 포함된 명사들이 그대로 시간을 의미하는 부사로 사용된다.

그 밖에 now, then, early, late, before, ago, 때를 가리키는 부사와 다른 단어와 합성되거나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overnight (하룻밤 새), all night(밤새도록) anytime(언제든지) 등이 있다.

만약 표현하고자 하는 적당한 단어가 부사에서 찾을 수 없다면 스스로 만들어 쓸 수 밖에. 이때 필요한 것이 역시 전치사다. 앞에서 논의한 at, on, in은 공간 뿐 아니라 시간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면 된다.  

점의 전치사 at은 시 at 10 o’clock, 분 at 9:30, 밤 at night, 정오 at noon, 나이 at fifty와 같은 장소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리키듯이 특정한 시각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공간의 전치사 in은 월 in March, 계절 in the spring, 해 in 2000, 세기 in the 21 century 아침 in the morning, 오후 in the afternoon, 저녁 in the evening과 같이 시각과 시각 사이에 어느 정도 시간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at는 안녕이라고 말하는 그 순간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시간이 비록 짧다고 하더라도 시각과 시각 사이에 시간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in을 사용한다.

반면 접촉면의 전치사 on은 on Sunday와 같이 조금 기간이 있지만 특별하게 정해진 날짜와 시간 그리고 정해진 조건에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아침이나 오후라도 특별하게 정해진 시간이면 ‘in this morning’이 아니라 ‘on this morning’ 이라고 표현한다. 다음은 포레스트 검프가 죽은 자신의 아내 제니에게 하는 말이다.

두 개 이상의 시간을 표현하여야 할 경우는 장소와 마찬가지로 구체적 시간부터 긴 시간의 순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것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기타 시간과 관련되어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로 within (–이내에), after (–후에), till (–지금부터 까지), by (-까지), since (–과거부터 쭉 현재 이래로), for (–동안/기간), during (–중에/상태의 계속), through (–동안 쭉/처음부터 끝까지) 등이 있다.

after는 명사와 함께 전치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접속사로 ~한 후에라는 용법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before는 after에 대응하는 단어로서 after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만 뜻은 정반대로 ~전에 라고 해석된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