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동사의 팀플레이, ‘동사뭉치’로 정복하다!

영어를 배우다 보면 “주어와 동사로 시작하라”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습니다. 맞습니다. 영어는 결론부터 던지고 보는 언어니까요. 하지만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우리가 표현하고 싶은 섬세한 뉘앙스나 다양한 상황을 모두 담아내기 어렵습니다. 특히, 우리말처럼 동사 자체가 다채롭게 변신하며 풍부한 의미를 만들어내는 언어와 비교하면 더욱 그렇죠. “보다, 보자, 보렴, 봐야 해, 보아라, 보십시오…” 우리말은 동사 어미 변화만으로도 수많은 표현이 가능하지만, 영어 동사는 시제나 인칭에 따른 변화가 비교적 단순합니다.


그렇다면 영어는 어떻게 이 부족함을 채울까요? 바로 팀플레이입니다! 동사 혼자서는 부족한 부분을 조동사, 빈도부사, (일반)부사, 그리고 전치사와 같은 든든한 지원군들과 함께 협력하여 해결합니다. 우리는 이 강력한 팀을 기억하기 쉽게 **’동사뭉치 (Verb Avengers)’**라고 부르기로 하겠습니다. 문법 용어에 얽매이기보다는, 이들이 어떻게 한 팀으로 움직이며 동사의 표현력을 극대화하는지 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자는 의미입니다.


동사뭉치 (Verb Avengers) =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일반)부사 + 전치사>


동사뭉치 (Verb Avengers) =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일반)부사 + 전치사>



물론, 이 ‘동사뭉치’라는 표현은 영문법의 ‘동사구(verb phrase)’나 ‘구동사(phrasal verb)’와 혼동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 동사구 (Verb Phrase): 여러 단어가 모여 문장에서 동사 역할을 하는 덩어리 (예: will lookis going to study)
  • 구동사 (Phrasal Verb): [동사 + 부사] 또는 [동사 + 전치사] 등이 합쳐져 원래 동사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의 관용구를 이루는 것 (예: look outlook forput on)


우리가 말하는 **’동사뭉치 (Verb Avengers)’**는 이 모든 것을 포괄하면서, 각 요소들이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일반)부사 → 전치사>**라는 일정한 순서와 패턴을 가지고 협력하여 ‘사실상의 완전한 동사’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물론 매번 모든 멤버가 출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멤버들만 선택적으로 참여하죠.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속 키팅 선생님의 명대사가 좋은 예시입니다.
“We must constantly look at things in a different way.” (우리는 끊임없이 사물을 다른 방식으로 보아야 한다.)

  • must (조동사) + constantly (빈도부사) + look (동사) + at (전치사) 가 하나의 ‘동사뭉치’를 이루어 “끊임없이 ~을 직시해야 한다”는 정교한 의미를 만들어냈습니다.

자, 그럼 이제부터 우리 ‘동사뭉치 어벤져스’의 멤버들을 하나씩 만나보겠습니다!



1. 선봉대장: 조동사 (Auxiliary Verbs) – 동사의 뉘앙스를 지휘하다!

동사뭉치의 맨 앞에서 동사의 의미를 더욱 세밀하게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조동사입니다. 인칭이나 시제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동사원형과 함께 쓰여 가능, 추측, 의무, 허가 등 다양한 뉘앙스를 불어넣죠.

  • Do (만능 조수):
    • 원래 ‘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do’는 일반동사의 부정문, 의문문을 만들 때 필수적인 도우미입니다. 또한, 동사 자체를 강조할 때도 쓰이죠. (옛 영어에서는 일반동사 앞에도 ‘do’를 썼던 흔적이 있습니다.)
    • Red: I do believe those first two years were the worst for him. (나는 그 처음 2년이 그에게 최악이었다고 정말로 믿는다.) – <쇼생크 탈출> (강조)
  • Will & Shall (미래 설계자):
    • ‘will’은 가장 일반적인 미래 표현 조동사입니다. ‘shall’은 요즘 잘 쓰이지 않지만, 격식체나 강한 의지를 나타낼 때 간혹 쓰입니다.
    • MAXIMUS: And I will have my vengeance, in this life or the next. (그리고 나는 복수할 것이다, 이생에서든 다음 생에서든.) – <글래디에이터>
    • Richard M. Nixon: Therefore, I shall resign the presidency… Vice president Ford will be sworn… (따라서 나는 대통령직을 사임할 것이며… 포드 부통령이 선서하고 임무를 수행할 것이다.) – <포레스트 검프> (닉슨의 강한 의지 vs 일반적 미래)
  • Can, May, Must (능력, 허가, 의무, 추측의 달인):
    • Can (~할 수 있다, ~해도 좋다, ~일까?):
      • Steven Spielberg: …one individual can change things. (…한 개인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죠.) – <쉰들러 리스트> (제작자 인터뷰)
    • Must (~해야 한다 – 의무, ~임에 틀림없다 – 강한 추측):
      • Drill Sergeant: You must have a goddamn I.Q. of 160. (넌 아이큐가 160쯤 되는 게 틀림없어.) – <포레스트 검프> (강한 추측)
      • ‘must’는 ‘have to/has to/had to’, ‘ought to’로 바꿔 쓸 수 있고, 미래는 ‘will have to’, 과거는 ‘had to’를 사용합니다.
      • JEFF BAILEY: You have to go all the way to find it. (그것을 찾으려면 끝까지 가봐야 해.) – <과거로부터 Out of the Past>
      • INDIANA JONES: Why did it have to be snakes? (왜 꼭 뱀이어야만 했지?) – <레이더스 Raiders of the Lost Ark>
      • Must have + p.p. (~했음에 틀림없다 – 과거 강한 추측):
        • Hans Gruber: I must have missed 60 Minutes. (내가 ’60분’을 못 본 게 틀림없군.) – <다이하드>
    • May (~해도 좋다 – 허가, ~일지도 모른다 – 약한 추측, ~하기를 – 기원):
      • John Keating: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시간이 있을 때 장미 봉우리를 거두라.) – <죽은 시인의 사회> (허락)
      • Gracchus: He’s young, he may do very well. (그는 아직 젊고, 앞으로 잘 할지도 모르지.) – <글래디에이터> (추측)

2. 전략가: 빈도/정도 부사 – 동사의 강도와 빈도를 조절하다!

조동사 다음 자리는 주로 빈도부사나 정도부사가 차지합니다. 이들은 동사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 또는 어느 정도로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며 동사의 의미를 더욱 정밀하게 만듭니다. 일반 부사가 주로 동사 뒤에 오는 것과 달리, 이들은 동사 앞(또는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위치하여 ‘동사뭉치’의 일원으로서 활약합니다.

  • 빈도/정도 부사의 위치: <조동사 + 빈도/정도부사 + 동사…>
    • Joseph: I’ve often wondered about that. (나는 종종 그것에 대해 궁금해했다.)
    • DA MAYOR: Always do the right thing. (언제나 옳은 일을 해라.) – <똑바로 살아라 Do The Right Thing>
    • Angel: You almost made it. (넌 거의 성공할 뻔 했는데.) – <스카페이스>
    • NATHAN JESSEP: I have a greater responsibility than you can possibly fathom. (난 네가 헤아릴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책임을 가지고 있다.) – <어 퓨 굿 맨>
    • Mac: Reality rarely lives up to expectation. (현실이 기대에 미치는 일은 거의 없지.) – <CSI 뉴욕>
    • Maria: …I could hardly breathe. (…난 거의 숨을 쉴 수가 없었어.) – <사운드 오브 뮤직>
    • Forrest Gump: In the land of China, people hardly got nothing at all. (중국 땅에서는 사람들이 거의 아무것도 가질 수 없어요.) – <포레스트 검프>
    • William Wallace: …but they’ll never take our freedom! (…하지만 그들은 결코 우리의 자유를 빼앗지 못할 것이다!) – <브레이브하트> (away 생략된 원문 형태)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의미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always항상completely
constantly끊임없이nearly, mostly, almost
usually대개generally
often종종
sometimes때때로
seldom드물게possibly
rarely거의 ~않는hardly
never결코 ~않는


3. 행동대장: (일반)부사 & 전치사 – 동사의 의미를 확장하고 구체화하다!

‘동사뭉치’의 후미를 장식하며 동사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고 구체적으로 만들어주는 멤버들이 바로 (일반)부사와 전치사입니다. 이들은 때로는 각자, 때로는 함께 움직이며 동사의 행동이 어디로 향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등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특히 [동사 + 부사] 또는 [동사 + 전치사]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의 **구동사(Phrasal Verb)**를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 CHARLOTTE VALE: Oh, Jerry, don’t let’s ask for the moon. (오, 제리, 괜한 욕심 부리지 말아요. / 달을 요구하지 말아요.) – <가자, 항해자여 Now, Voyager>
    • ‘ask(묻다)’ + ‘for(~을 향해)’ → ‘ask for(~을 요구하다/찾다)’
  • CAPT. RENAULT: Round up the usual suspects. (의심이 가는 놈은 다 잡아들여.) – <카사블랑카>
    • ’round(돌다)’ + ‘up(위로/완전히)’ → ’round up(모으다/검거하다)’
  • MRS. PARKER: You’ll shoot your eye out. (그러다 네 눈 빠진다. / 네 눈을 쏘아 없애버릴 것이다.) – <크리스마스 스토리 A Christmas Story>
    • ‘shoot(쏘다)’ + ‘out(밖으로)’ → ‘shoot out(격렬하게 쏘다, 끝장을 보다)’


이처럼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일반)부사 + 전치사> 멤버들이 힘을 합치면, 동사 혼자서는 표현하기 어려운 섬세하고 역동적인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look’이라는 단순한 동사도 이 어벤져스 멤버들과 함께라면 “look at(보다)”, “look for(찾다)”, “look after(돌보다)”, “look up to(존경하다)”, “look down on(경멸하다)”, “look forward to(~을 고대하다)” 등 무한한 표현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4. 시간의 지배자: 시제 (Tenses) – 동사 변화의 기본 원칙

지금까지 동사 자체의 변화는 최소화하고 ‘동사뭉치’ 멤버들의 도움을 받는 방법을 이야기했지만, 영어 동사도 기본적인 변화는 합니다. 바로 시제에 따른 변화죠. 우리말만큼 복잡하진 않지만, 시간 개념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부분입니다.

  • 동사 변화의 대원칙:
    1.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일 때만 동사 뒤에 -s (또는 -es)를 붙인다. (예: He walks.)
    2. 그 외 인칭이나 복수 주어의 현재 시제는 동사원형을 쓴다. (예: I walk, We walk, They walk.)
    3. 과거 시제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상관없이 동사의 과거형(주로 -ed)을 사용한다. (예: I walked, He walked.)
    4. 미래 시제는 조동사 ‘will’ + 동사원형을 사용한다. (예: I will walk, He will walk.)
  • 기본 시제 (현재, 과거, 미래):
    • 현재: 현재의 동작/상태, 습관, 불변의 진리. (예: I walk to school. The earth goes around the sun.)
    • 과거: 과거에 일어난 일. (예: She studied hard. He used to be beautiful. – <아틀란틱 시티>)
    • 미래: 미래에 일어날 일, 예측. (예: I will call you later.)
  • 진행형 (be + ~ing): 특정 시점에 진행 중인 동작을 생생하게 표현.
    • BENJAMIN BRADDOCK: Mrs. Robinson, you’re trying to seduce me. Aren’t you? (로빈슨 부인, 지금 날 유혹하고 있는 거죠. 그렇죠?) – <졸업>
    • 가까운 미래 (be going to + 동사원형):
      • MARGO CHANNING: Fasten your seatbelts. It’s going to be a bumpy night. (안전벨트를 꽉 조이세요. 오늘은 요란한 밤이 될 테니까.) – <이브의 모든 것>
      • ARTHUR BACH: I’m going to take a bath. HOBSON: I’ll alert the media. (<아서> – ‘be going to’와 ‘will’이 유사하게 쓰임)
    • 가까운 미래 (be about to + 동사원형): 막 ~하려는 참이다.
      • Zeus: You are about to have a very bad day. (넌 이제 정말 운 나쁜 날을 경험하게 될 거야.) – <다이하드 3>
  • 완료형 (have/has/had + p.p.): 이 부분이 우리에게 가장 어렵지만, “과거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특정 과거 시점 이전에 완료된 일” 등을 표현. (자세한 설명은 추후 심화 과정에서!)

기본형진행형완료형완료진행형
현재V / V-sam/is/are + V-inghave/has + p.p.have/has been + V-ing
과거V-ed (과거형)was/were + V-inghad + p.p.had been + V-ing
미래will + Vwill be + V-ingwill have + p.p.will have been + V-ing


복잡해 보이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기본 시제와 진행형만 잘 활용해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동사뭉치’ 어벤져스들이 어떻게 협력하여 동사의 표현력을 확장하는지 그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입니다. 이 ‘동사뭉치’ 개념이 여러분의 영어 학습에 강력한 무기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