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y’ll pass over the money without even thinking about it.


🎬 영화 “꿈의 구장(Field of Dreams)” – 아버지와의 재회, 그리고 천국


오늘은 영화 “꿈의 구장(Field of Dreams)”의 장면들을 살펴봅니다. 주인공 레이 킨셀라가 자신이 만든 옥수수밭 야구장에서 과거의 야구 영웅들과 경기를 하던 중, 젊은 시절의 아버지와 재회하고 오랜 시간 가슴에 묻어두었던 화해를 이루는 순간이 나옵니다. “그걸 지으면, 그가 올 거야(If you build it, he will come)”라는 미스터리한 목소리를 따라 야구장을 만들었던 레이에게, 그 ‘그’가 바로 아버지였음을 깨닫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 오늘의 문장: They’ll pass over the money without even thinking about it.

  1. 발음(Pronunciation Analysis & Korean Guide):
    IPA (발음기호): /ðeɪl ˌpæsˈsoʊvər ðə ˈmʌni wɪˈðaʊt ˌiːvən ˈθɪŋkɪŋ əˈbaʊɾɪt/

    한글표현 발음(강세 표시: 굵게): 데일 패쏘우버더 마니 위다웃 이븐 띵킹어바우릿.
    (한글 표기는 참고용이며, 실제 소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2. They’ll pass over → /ðeɪl pæsˈsoʊvər/ (데일 패쏘우버):
    • They’ll (/ðeɪl/): 조동사 will의 축약형. l은 뒤따르는 p와 자연스럽게 연결.
    • pass over (/pæsˈoʊvər/): [연음 법칙 1: 자음+모음] pass의 끝 자음 /s/와 over의 첫 모음 /oʊ/가 연음되어 ‘패쏘우버’처럼 들립니다.

  3. over the → /oʊvərðə/ (오우버더): [연음 법칙 1: 자음+모음] & [기능어 the 약화] over의 끝 /r/과 the의 /ð/가 연결되며, the는 약한 /ðə/(더)로 발음됩니다.

  4. without even → /wɪˈðaʊtˌiːvən/ (위다우티븐): [연음 법칙 1: 자음+모음] without의 끝 자음 /t/와 even의 첫 모음 /iː/가 연음됩니다.

  5. thinking about it → /ˈθɪŋkɪŋəˌbaʊɾɪt/ (띵킹어바우릿):
    • thinking about (/ˈθɪŋkɪŋ əˈbaʊt/): thinking의 끝소리 /ŋ/과 about의 첫 모음 /ə/(슈와)가 연음됩니다.
    • about it (/əˈbaʊt ɪt/ → /əˈbaʊɾɪt/): [유화(Flapping)] & [연음 법칙 1] about의 /t/가 모음 사이에서 부드러운 /ɾ/(르/드) 소리로 변하고, it의 모음 /ɪ/와 연음되어 ‘어바우릿’처럼 들립니다.

  6. 문장 강세 & 리듬: 내용어인 passmoneythinkingabout에 주로 강세가 실립니다. They’ll, over, the, without, even, it과 같은 기능어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발음되어 전체적으로 엇박자 리듬을 형성합니다. “They’ll PASS over the MOney without even THINKing aBOUT it.” 과 같은 리듬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장면 속 유용한 표현:Chunk로 기억할 만한 문구:

  • People will come. → [피플윌 컴.] 또는 축약되어 [피플(을)컴.] (사람들은 올 거야.)
  • It reminds us of all that once was good and it could be again. → [잇리마인저서벌 댓원워즈굿 대닛쿳비어겐.] (한때 좋았던 모든 것, 그리고 다시 좋아질 수 있는 것을 상기시켜주지.)



✨ Vocabulary & Expressions (어휘 및 표현):

  • fathom: (이유 등을) 헤아리다, 가늠하다.
  • bleachers: (경기장의) 지붕 없는 관중석.
  • foreclose: (저당 잡은 재산을) 차압하다, 압류하다.
  • constant: 변함없는 것, 불변의 것.
  • evicted: (집 등에서) 쫓겨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