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하여 동사 이루기
1995년 제작 된 영화 <브레이브하트(Braveheart, 1995)>는 자유에 대한 영화다. 주인공 멜 깁슨이 죽으면서 던진 한 마디가 자유 즉 “Freedom!”이었다.
영화 <브레이브하트>는 13세기 스코틀랜드 영웅 윌리엄(멜 깁슨)의 사랑과 투쟁을 그린 영화로 잉글랜드의 폭정에 시달리던 스코틀랜드의 저항을 그리고 있다.
다음의 대사는 멜 깁슨이 마지막 결전을 앞두고 하는 연설이다.
William Wallace: You have come to fight as free men, and free men you are. What will you do with that freedom? Will you fight? Aye, fight and you may die, run and you’ll live. At least a while.
당신은 자유인으로서 싸우기 위해 왔습니다. 지금과 같은 자유인으로서 말이죠. 자유를 가지고 무엇을 하렵니까? 싸우시겠습니까? 싸우다 죽을 수도 있습니다. 도망치면 살 수 있습니다. 최소한 당분간은 말이죠.
And dying in your beds many years from now, would you be willing to trade all the days from this day to that for one chance, just one chance to come back here and tell our enemies that they may take (away) our lives, but they’ll never take our freedom!
나중에 침상에 누워 죽어갈 때, 오늘부터 남은 죽음의 순간까지의 시간을 단 한번의 기회와 맞바꿀 생각이 있습니까? 다시 이곳으로 돌아와 저들에게 “우리의 목숨을 빼앗아 갈 수는 있지만, 자유를 빼앗을 수는 없다.”라고 말할 수 있는 기회 말이요.
“They may take (away) our lives, but they’ll never take our freedom!”의 원 대사에는 앞에 나오는 take 다음에 away라는 단어가 없다. 동사 take는 ‘가지고 가다’ 또는 ‘취하다’ ‘차지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만약 이 동사에 away이라는 단어가 들어간다면 ‘빼앗아가다’,는 ‘사라지게 하다’, ‘박탈하다’라는 의미가 되어 더 강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우리 말은 동사 자체가 변화무쌍하게 변하면서 다양한 표현을 만들어 낸다. 반면 영어는 동사뭉치(Verb Avengers)의 팀원들이 힘을 합쳐 상세하고 실감나는 표현을 만들어야 하는 언어다. 그래서 Avengers고 독수리 5형제와 같다.
동사뭉치(Verb Avengers):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부사 + 전치사>
이 동사뭉치(Verb Avengers)의 맨 뒤에 등장하는 멤버가 부사와 전치사다. 둘이 따로따로 등장하여 활약하기도 하고, 간혹 둘이 함께 팀워크를 보여주기도 한다. 여하튼 동사 다음에 등장하는 전치사나 부사는 동사를 돕기 위해 동사 뒤에서 동사의 의미를 강화해 주거나 다양한 표현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CHARLOTTE VALE: Oh, Jerry, don’t let’s ask for the moon. We have the stars. 오, 제리, 괜한 욕심 부리지 말아요. 우린 지금 행복하잖아요. <가자, 항해자여 (NOW, VOYAGER: 1942)>
‘ask’는 묻다, 물어 보다는 뜻을 가진 동사다. 이 동사가 for와 함께 사용되면 누구를 만나거나 어디를 가기 위해 ‘~에 대해 묻다’ 또는 ‘~를 찾다’라는 더 정확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반면에 원래 동사가 가진 의미와 많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CAPT. RENAULT: Round up the usual suspects. 의심이 가는 놈은 다 잡아들여. <카사블랑카 >(CASABLANCA: 1942)
“Round up the usual suspects.”에 등장하는 동사‘round’는 ‘둥그스름하게 하다’ ‘완성하다’ 또는 ‘돌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round up’은 모으다. ‘해결하다’, ‘검거하다’, ‘반올림 하다’라는 상당히 달라진 의미를 가지게 된다.
문법책에서 흔히 구동사(Phrasal Verb)라고 말하는 관용 용법들은 대부분 동사뭉치로 활약하다가 그야말로 관용적으로 굳어진 것들이다. pick up, make up, put on, turn on, turn off, turn down, pick out, take care of, look after, make a birth to, put off, look for와 같은 것이 그런 예다. 이 들 중에는 원래의 동사와 의미가 많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MRS. PARKER: You’ll shoot your eye out. 그러다 눈 빠진다 <A CHRISTMAS STORY>
‘shoot it out (with somebody)’하면 총격전으로 결판을 내다 또는
끝장을 본다는 말이다. Shoot-out 하면 결판이 나도록 계속되는 총격전이 된다. 따라서 shoot eye out하면 끝장 낼 듯이 눈을 쏜다는 말이니 뚫어지게 쳐다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 많은 표현을 여기서 다 정리하기는 어렵다. 단 우리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조동사 + 빈도부사 + 동사 + 부사 + 전치사>가 함께 모여 동사 혼자 표현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풍부한 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동사 ‘look’라는 영어 단어와 우리말의 예를 들어 다양한 표현을 어떻게 이 동사뭉치(Verb Avengers)가 표현할 수 있을지 살펴보기로 하자.
우리말 | Expression A | Expression B | 설명 |
본다 | Looks | 현재 단수 3인칭 | |
안 본다 | Does not look | ||
보고 있다 | is looking | 현재진행 | |
볼 것이다 | will look | will be looking | 미래/미래진행 |
이제 막 보려고 한다 | is about to look | 바로 앞의 미래 | |
금방 볼 것이다 | is going to look | 가까운 미래 | |
보았다 | looked | 과거 | |
보고 있었다 | was looking | 과거진행 | |
본적이 있다 | Have looked | 현재완료 | |
지금까지 보고 있었다 | Have looked | have been looking | 현재완료진행 |
그때까지 보고 있었다 | had looked | had been looking | 과거완료/진행 |
아마 보고 있을 것이다 | will have looked | will have been looking | 미래완료/진행 |
볼 수 있다 | can look | is able to look | |
볼 수 있었다 | could look | was able to look | |
보아도 된다 | may look | ||
볼 지도 모른다 | may look | ||
보지 않는 것이 좋다 | may not look | ||
보았을지도 모른다 | may have looked | might look | |
보려고 했다 | would look | ||
보곤 했다 | Used to look | ||
보는 게 낫다 | would rather look | had better look | might as well look |
당연히 보아야 한다 | should look | ||
보았어야 했다 | should have looked | 그런데 안 봤다 | |
보아야만 했다 | had to look | 그래서 봤다. | |
반드시 보아야 한다 | Must look | have to look | ought to look |
보았음에 틀림없다 | Must have looked | ||
보았을 리 없다 | cannot have looked | ||
보아서는 안 된다 | Must not look | should not look | |
보지 말았어야 했다 | shouldn’t have looked | ||
볼 필요 없다 | don’t have to look | don’t need to look | |
볼 필요 없었다 | Need not have looked | ||
볼 필요가 있다 | Need to look | ||
감히 본다 | Dare to look | ||
항상 본다 | always looks | ||
보통 본다 | usually looks | ||
자주 본다 | Often looks | ||
가끔 본다 | sometimes looks | ||
드물게 본다 | seldom looks | ||
거의 안 본다 | rarely looks | hardly looks | |
결코 안 본다 | never looks | ||
~을 보다 | Looks at | 점의 전치사와 특정한 것을 [본다]는 의미 | |
~을 자세히 보다 | Looks into | [살피다]의 의미로 | |
~쪽을 바라 보다 | Looks to | 방향의 전치사와 [의지하다]의 의미로 | |
~면을 보다 | Looks on | 접촉의 접속사와 한 부분을 보다 | |
쳐다 보다 | Looks up | [찾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 |
내려 보다 | Looks down | [무시하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 |
밖을 보다 | Looks out | [조심하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 |
보는 것 | to look | To 부정사 명사와 형용사 부사로 활약 가능 | |
봄 | looking | 동명사 명사의 역할 | |
보면서 | looking | 현재분사 부사절을 만든다 |
위에 나열한 것 중 몇 개의 표현만 찾아보기로 하자.
RICK BLAINE: Here’s looking at you, kid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카사블랑카>
여기서 looking은 동사를 명사로 변장시킨 동명사다. 직역하면 “너를 보는 것이 여기에 있다”는 말이다. 누군가 보고 있다는 말이다. 이 말을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라고 번역한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 릭은 술을 마시지 않을 때로 이 대사를 한다.
Bernstein: Old age. It’s the only disease, Mr. Thompson, that you don’t look forward to being cured of. 노년기, 그것이 유일한 병입니다, 톰슨씨, 당신이 완치될 수 있다고 기대하지 않는 것 말입니다. < Citizen Kane>
‘Look forward to’는 ‘~하는 것을 기대하다’라는 동사뭉치(Verb Avengers)다. 이처럼 look이라는 동사를 가지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다이하드>에서 맥클레인의 부인이 용감하게 테러리스트 한스에게 대드는 다음의 장면을 보자.
Holly Gennero McClane: I have a request. 내게 한 가지 요구사항이 있어요.
Hans Gruber: What idiot put you in charge? 어떤 바보가 당신에게 그런 자리를 맡겼습니까?
Holly Gennero McClane: You did. When you murdered my boss. Now everybody’s looking to me. Personally, I’d pass on the job. I don’t enjoy being this close to you. 당신이요. 당신이 나의 상사를 죽였을 때 말이에요. 이제 모두가 나만 쳐다 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임무를 하고 쉽지 않아요. 난 당신으로부터 이 정도 가까이 있는 것을 즐기지도 않고요. <다이하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