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three days they found him in the temple courts, sitting among the teachers, listening to them and asking them questions.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 누가복음 2:46
육하원칙으로 궁금증을 해결하시니라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별로 남아있지 않다. 위의 장면은 43번째 성경 누가복음이 전하고 있는 예수의 12살 때의 일을 전달하고 있다. 예수의 부모가 예수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갔다가 축제가 끝나자 소년 예수를 잃어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After the Feast was over, while his parents were returning home, the boy Jesus stayed behind in Jerusalem, but they were unaware of it. 소년 예수를 찾아 예루살렘에 다시 돌아가 보니 성전에서 많은 율법선생들과 토론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년 예수의 지혜와 대답에 성전에 있던 선생들이 놀랐다. – 누가복음 2:43)
Everyone who heard him was amazed at his understanding and his answers.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 – 누가복음 2:47)
이것이 유일한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이다

위 예문의 첫 구절을 독립된 문장을 만든다면 “They found him in the temple courts after three days.”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삼일 후라는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 영어의 강조의 원칙에 따라 문장 맨 앞에 “언제?”라는 표현을 내놓은 것이다.
자 이제 생각뭉치의 마지막 표현인 “그래서 언제?”를 살펴볼 시점이 왔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때를 의미하는 부사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런 단어가 없다면 장소의 부사를 만드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치사를 이용해 스스로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때를 가리키는 부사로 흔히 쓰는 단어로 now, then, early, late, before, ago, yesterday, today, tomorrow 등과 다른 단어와 합성되거나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overnight(하룻밤 새), all night(밤새도록)등이 있다.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는 “Now the whole world had one language and a common speech.”의 구절에 나오는 now와 같이 문장 맨 앞에서 동사를 수식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문장 맨 뒤에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관심사의 우선 순위가 그렇다는 것이다.
He guided them with the cloud by day and with light from the fire all night. 낮에는 구름으로, 밤에는 불빛으로 인도하셨으며 -시편 78:14)
Do not defraud your neighbor or rob him. Do not hold back the wages of a hired man overnight. 너는 네 이웃을 억압하지 말며 착취하지 말며 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밤새도록 네게 두지 말며 -신명기 19:13)
만약 표현하고자 하는 적당한 단어가 부사에서 찾을 수 없다면 스스로 만들어 쓸 수 밖에. 이때 필요한 것이 역시 전치사다. 앞에서 논의한 at, on, in은 공간 뿐 아니라 시간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면 된다.
점의 전치사 at은 장소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리키듯이 at 10 o’clock, 분 at 9:30, 밤 at night, 정오 at noon, 나이 at fifty와 같이 특정한 시각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공간의 전치사 in은 월 in March, 계절 in the spring, 해 in 2000, 세기 in the 21 century 아침 in the morning, 오후 in the afternoon, 저녁 in the evening과 같이 시각과 시각 사이에 어느 정도 시간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Therefore keep watch because you do not know when the owner of the house will come back–whether in the evening, or at midnight, or when the rooster crows, or at dawn.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집 주인이 언제 올는지 혹 저물 때일는지, 밤중일는지, 닭 울 때일는지, 새벽일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라 – 마가복음 13:35)
반면 접촉면의 전치사 on은 on Sunday와 같이 조금 기간이 있지만 특별하게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사용하면 된다.
In this way, love is made complete among us so that we will have confidence on the day of judgment, because in this world we are like him. 이로써 사랑이 우리에게 온전히 이루어진 것은 우리로 심판 날에 담대함을 가지게 하려 함이니 주께서 그러하심과 같이 우리도 이 세상에서 그러하니라 – 요한일서 4:17)
따라서 아침이나 오후라도 특별하게 정해진 시간이면 ‘in this morning’이 아니라 ‘on this morning’ 이라고 표현한다.
On the evening of that first day of the week, when the disciples were together, with the doors locked for fear of the Jews, Jesus came and stood among them and said, “Peace be with you!” 이 날 곧 안식 후 첫날 저녁 때에 제자들이 유대인들을 두려워하여 모인 곳의 문들을 닫았더니 예수께서 오사 가운데 서서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 요한복음 20:19)
두 개 이상의 시간을 표현하여야 할 경우는 장소와 마찬가지로 구체적 시간부터 긴 시간의 순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것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기타 시간과 관련되어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n (–이내에), within (–이내에), after (–후에), till (–지금부터 까지), by (-까지), since (–과거부터 쭉 현재 이래로), from (–때부터), for (–동안/기간), during (–중에/상태의 계속), through (–동안 쭉/처음부터 끝까지)
Therefore this generation will be held responsible for the blood of all the prophets that has been sh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world 창세 이후로 흘린 모든 선지자의 피를 이 세대가 담당하되 -누가복음 11:50)
Do not harden your hearts as you did in the rebellion, during the time of testing in the desert, 광야에서 시험하던 날에 거역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 -히브리서 3:8)
또한 day after day, year after year 와 같은 용법으로 매일, 매년이라는 표현을 만들기도 하며 the day after tomorrow(내일 다음 날 – 모레)라는 의미를 만들기도 한다.
Day after day they pour forth speech; night after night they display knowledge. 날은 날에게 말하고 밤은 밤에게 지식을 전하니 – 시편 19:2)
우리말 성경에 ‘day after day’를 ‘날은 날에게’로 번역하였으나 의미만 생각한다면 ‘늘’ 또는 ‘날이면 날마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하지만 위의 성경구절이 시편에 나오는 말이고 원래의 표현이 시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우리말 성경구절이 더 시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before는 after에 대응하는 단어로서 after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만 뜻은 정반대로 ~전에 라고 해석된다. before와 after는 사실 접속사로도 또 전치사로도 때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부사로 쓰여 지기도 한다.
My son Joseph is still alive. I will go and see him before I die. 내 아들 요셉이 지금까지 살아 있으니 내가 죽기 전에 가서 그를 보리라 – 창세기 45:28)
위의 성경구절에서는 before가 접속사로 사용되었다. 접속사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It was Preparation Day, that is, the day before the Sabbath. 이 날은 준비일 곧 안식일 전날이므로 – 마가복음 15:42)
전치사 before가 명사 Sabbath 앞에 붙어 ‘안식일 전’이라는 형용사를 만든 경우다. Sabbath는 히브리어 Shabbat라는 ‘중지하다’ 또는 ‘그만 두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어 유대인들이 금요일 해질 무렵부터 다음날 어두워질 때까지 휴식하며 거룩하게 지키던 시간을 가리킨다. 오늘날에는 안식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The king’s hand was restored and became as it was before. 왕의 손이 다시 성하여 전과 같이 되니라 -열왕기상 13:6)
‘before’가 단독으로 ‘이전’이라는 의미로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