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y found him after three days.

After three days they found him in the temple courts, sitting among the teachers, listening to them and asking them questions.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 누가복음 2:46

육하원칙으로 궁금증을 해결하시니라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FreeBibleimages :: Jesus gets lost :: Mary and Joseph search Jerusalem for Jesus (Luke 2:41-52)

위 예문의 첫 구절을 독립된 문장을 만든다면 “They found him in the temple courts after three days.”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삼일 후라는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 영어의 강조의 원칙에 따라 문장 맨 앞에 “언제?”라는 표현을 내놓은 것이다.

자 이제 생각뭉치의 마지막 표현인 “그래서 언제?”를 살펴볼 시점이 왔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때를 의미하는 부사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런 단어가 없다면 장소의 부사를 만드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치사를 이용해 스스로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때를 가리키는 부사로 흔히 쓰는 단어로 now, then, early, late, before, ago, yesterday, today, tomorrow 등과 다른 단어와 합성되거나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overnight(하룻밤 새), all night(밤새도록)등이 있다.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는 “Now the whole world had one language and a common speech.”의 구절에 나오는 now와 같이 문장 맨 앞에서 동사를 수식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문장 맨 뒤에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관심사의 우선 순위가 그렇다는 것이다.

만약 표현하고자 하는 적당한 단어가 부사에서 찾을 수 없다면 스스로 만들어 쓸 수 밖에. 이때 필요한 것이 역시 전치사다. 앞에서 논의한 at, on, in은 공간 뿐 아니라 시간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면 된다.  

점의 전치사 at은 장소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리키듯이 at 10 o’clock, 분 at 9:30, 밤 at night, 정오 at noon, 나이 at fifty와 같이 특정한 시각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공간의 전치사 in은 월 in March, 계절 in the spring, 해 in 2000, 세기 in the 21 century 아침 in the morning, 오후 in the afternoon, 저녁 in the evening과 같이 시각과 시각 사이에 어느 정도 시간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반면 접촉면의 전치사 on은 on Sunday와 같이 조금 기간이 있지만 특별하게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아침이나 오후라도 특별하게 정해진 시간이면 ‘in this morning’이 아니라 ‘on this morning’ 이라고 표현한다.

두 개 이상의 시간을 표현하여야 할 경우는 장소와 마찬가지로 구체적 시간부터 긴 시간의 순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것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기타 시간과 관련되어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n (–이내에), within (–이내에), after (–후에), till (–지금부터 까지), by (-까지), since (–과거부터 쭉 현재 이래로), from (–때부터), for (–동안/기간), during (–중에/상태의 계속), through (–동안 쭉/처음부터 끝까지)

또한 day after day, year after year 와 같은 용법으로 매일, 매년이라는 표현을 만들기도 하며 the day after tomorrow(내일 다음 날 – 모레)라는 의미를 만들기도 한다.

우리말 성경에 ‘day after day’를 ‘날은 날에게’로 번역하였으나 의미만 생각한다면 ‘늘’ 또는 ‘날이면 날마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하지만 위의 성경구절이 시편에 나오는 말이고 원래의 표현이 시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우리말 성경구절이 더 시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before는 after에 대응하는 단어로서 after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만 뜻은 정반대로 ~전에 라고 해석된다. before와 after는 사실 접속사로도 또 전치사로도 때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부사로 쓰여 지기도 한다.

위의 성경구절에서는 before가 접속사로 사용되었다. 접속사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전치사 before가 명사 Sabbath 앞에 붙어 ‘안식일 전’이라는 형용사를 만든 경우다. Sabbath는 히브리어 Shabbat라는 ‘중지하다’ 또는 ‘그만 두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어 유대인들이 금요일 해질 무렵부터 다음날 어두워질 때까지 휴식하며 거룩하게 지키던 시간을 가리킨다. 오늘날에는 안식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before’가 단독으로 ‘이전’이라는 의미로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