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된 정관사 vs. 무작위 부정관사
2009년 발표된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Avatar, 2009)>와 1993년 발표된 스티븐 스필버그의 <쥬라기 공원 JURASSIC PARK, 1993>이 여러모로 대응되지만, 가장 유사한 점은 당시로서는 상상을 초월한 영상을 영화에 도입했다는 것이다. <쥬라기 공원> 역시 많이 잊혀졌지만 컴퓨터가 만들어 낸 그래픽 영상(CG: Computer Graphics)으로 공룡들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복원하여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
<아바타>는 3D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실재와 그래픽을 구별하기 어려운 영상을 만들어 냄으로써 리얼리티 CG열풍의 주인공이 되었다. ‘스타워즈’와 ‘터미네이터’ ‘쥬라기공원’을 합친 듯하지만 당시로서는 상상 불허의 영상이었다.
<쥬라기 공원>은 사라진 공룡을 살려내는 프로젝트인 반면 영화 <아바타>에는 행성 판도라의 생명체에 인간의 의식을 주입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줄거리가 약하다고 하더라도 이들 영화에도 공통의 주제가 있다. 그것은 인간의 선택과 과학은 불완전하지만 자연과 생명은 그 자체로 놀라운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생명에 대한 경외다. <쥬라기 공원>의 다음의 대사를 보자.
Henry Wu: You’re implying that a group composed entirely of female animals will… breed? 암컷만 존재하는 종이 새끼를 낳아 번식할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Dr. Ian Malcolm: No, I’m simply saying that life, uh… finds a way. 난 단지 생명이 자신의 생존방법을 찾는다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쥬라기 공원 JURASSIC PARK, 1993>
영어를 조금 하는 사람들도 자신 없어 하는 단어가 a 와 the 라는 아주 단순한 관사라는 것이다. 영어가 자신의 언어인 경우 그 느낌을 아니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외국인인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가끔 난감한 과제가 된다. 우리는 여기서 아주 간단한 정의를 통해 그 느낌에 가까이 접근해 보자.
관사의 원칙:
명사에서 어떤 명사의 속성을 나타내고 싶을 때는 관사 없이 사용하고, ~ 중에 무작위로 뽑은 하나라는 의미일 때는 a 부정관사를 사용하고, 그 중에 어떤 기준으로 뽑혀진(선발된) 것이면 the 관사를 사용한다.
즉 모든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에 a 또는 an을 붙어있으면 <~라는 것 중 하나>라고 해석하면 된다. 정말 그럴까? 말콤 박사는 “Life finds a way”라고 말한다. 왜 그냥 ‘way’나 ‘the way’가 아니고 ‘a way’일까? 어떤 조건으로 선발된 길이 아니라, 여러 길 중 하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말콤 박사도 그의 말을 듣는 사람도 어떤 특정한 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아폴로 13>의 선장이 본부에 전하는 다음의 대사도 마찬가지다.
JIM LOVELL: Houston, we have a problem. <APOLLO 13>
문제가 하나 생겼지만, 그냥 하나의 문제다. 무슨 문제인지 듣는 사람은 아직 모른다는 이야기다. 1968년 발표된 우주 SF영화 ‘2001: A Space Odyssey’에서 목성 탐사를 위해 여행중인 데이브(Dr. Dave Bowman)와 에러가 없는 완벽한 컴퓨터 HAL 9000과의 대화를 들어보자.
Dave Bowman: Hello, HAL. Do you read me, HAL? 여보게, 할. 내 말 들리나 할?
HAL: Affirmative, Dave. I read you. 데이브, 잘 들린다.
Dave Bowman: Open the pod bay doors, HAL. 격납고 문을 열게, 할.
HAL: I’m sorry, Dave. I’m afraid I can’t do that. 미안하지만 데이브. 그렇게 할 수가 없네.
Dave Bowman: What’s the problem? 무슨 문제가 있나?
HAL: I think you know what the problem is just as well as I do. 내가 그 문제를 잘 알고 있듯이 너도 그 문제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2001: A Space Odyssey>
데이브가 격납고의 문을 열라고 하자 컴퓨터 할이 거부한다. 그러자 바우만 박사는 “What’s the problem?”이라고 묻는다. ‘a problem’이 아니라 ‘the problem’이다. 아무 문제가 아니라 컴퓨터 할이 알고 있는 문제다. 많은 가능성 있는 문제 중 컴퓨터 할이 알고 있는 특정한 문제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많은 문제 중 선발된 하나의 문제다. “Close the door!”하면 “문을 닫아라!”라는 말이다. 이런 경우 아무 문이나 닫으라는 것이 아님으로 정관사 the를 써야 한다. 만약 “Close a door”하면 도대체 집안에 있는 어떤 문을 닫으라는 것인지 혼란스러워 질 수 있다. 그래서 데이브 바우만 박사는 컴퓨터 할에게 “Open the pod[1] bay doors, Hal.”라고 말하고 있다.
반면 <사운드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에 등장하는 원장수녀가 수녀가 될 수 없었던 마리아를 위로하며 “When the Lord closes a door, somewhere he opens a window. 하느님이 문을 닫으실 땐 어딘가 다른 문을 열고 계세요.”라고 말한다. 특별하게 선발된 문이 아니라 그냥 하나의 문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부정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에만 붙여야 한다. 명사에는 5형제가 있다. 보통명사, 집합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 그리고 고유명사가 그것이다. 이들 중 추상명사와 물질명사는 정의상 셀 수 없는 것들을 가리킨다. 셀 수 없는 명사에는 ‘하나’라는 의미를 가진 부정관사 ‘a’를 붙일 수 없다는 이야기다.
추상명사는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를 말한다. 에덴 동산의 ‘선악과 나무’는 영어 성경에는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라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tree는 보통명사다. 반면 knowledge(지식), good(선), evil(악) 등은 추상적인 개념을 의미함으로 추상명사다. 그 밖에 experience(경험), success(성공), education(교육), kindness(친절), youth(젊음), beauty(미), advice(충고), happiness(행복), luck(행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을 의미하는 단어 들은 모두 추상명사다.
MORTIMER BREWSTER: Insanity[2] runs in my family. It practically gallops[3]. 우리 집안의 핏줄에는 광기가 흐른다. 흐르는 것이 아니라 거의 달리고 있지. <ARSENIC AND OLD LACE, 1944>
그런데 이런 추상명사가 구체적인 행위, 경험, 기회 등을 나타낼 때에는 보통명사처럼 쓰여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쓸 수 있다. 이를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라고 한다.
Richard ‘Rick’ Blaine:: Louis, I think this is the beginning of a beautiful friendship. 루이스, 이것이 멋진 우정의 시작일 거 같군. <카사블랑카 (CASABLANCA: 1942)>
이런 추상명사에는 같은 논리로 정관사가 사용될 수 있다.
NATHAN JESSEP: You can’t handle the truth! 넌 진실을 감당할 수 없어! < 어 퓨 굿 맨 A FEW GOOD MEN: 1992)>
아무 진실이 아니라 그 사건의 진실이라는 특정한 진실이다. 이런 의미를 표현하고자 할 때는 정관사 the를 붙인다. 정관사는 선발대회에서 선발된 특정한 것들을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정관가 붙어야 하는 표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예를 들어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사, only, next, same 등이 명사를 수식하여 그 명사가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게 될 때는 정관사를 붙여야 한다. 왜냐 하면 다른 것과 비교하는 표현이니 당연히 여러 개 중에 선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IMMY ‘POPEYE’ DOYLE: When’s the last time you picked your feet, Willy? Who’s your connection, Willy? What’s his name? I’ve got a man in Poughkeepsie who wants to talk to you. You ever been to Poughkeepsie?
네가 마지막으로 발을 똑바로 들고 걸어 본 적이 언젠가, 빌리? 너는 누구와 연결되어 있지, 빌리? 그 친구 이름이 뭐야? 포킵시에서 너와 이야기 하고 싶어하는 사람을 찾았어. 포킵시에 간 적이 있었나? <THE FRENCH CONNECTION, 1971>
신체부위에 어떤 동작을 가하는 경우에 「전치사+the+신체부위」의 형태로 표현한다.-어떤 사람의 신체 부위임으로 아무 사람들의 신체가 아니라 이미 선정된 사람의 신체 중 일부이다.
Raymond: [Charlie grabs him by the neck] OW! (찰리가 레이의 목을 잡는다) 오우!
Charlie: Don’t make a scene! 연극하지마!
Raymond: OW!
Charlie: Stop acting like a fu- retard. 지진아처럼 행동하지마
Raymond: UH-OH! 우 오! <레인맨>
고유명사에는 정관사가 붙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래서 하나님을 가리키는 고유명사 God에는 관사를 붙이지 않고 G를 대문자로 표기하여 다른 ‘신(gods)’들과 구별한다. 그러나 the sun, the moon, the earth, the world, the universe, the sky처럼 세상에 단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명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the’를 붙여 선발되었음을 보여준다. the north, the south, the east, the west, the right, the left와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에도 정관사가 붙어야 한다. 이들은 여러 방향 중 하나를 선발하여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Andy Dufresne: One in particular. It’s got a long rock wall with a big oak tree at the north end. 특별한 곳 하나가 있어요. 북쪽 끝에 큰 참나무 가 서있는 긴 돌담이 있는 곳이죠. <쇼생크 탈출>
그런데 the Alps, the United States. the Philippines, the Netherlands. the Smiths와 같이 산맥, 국가, 가족 명 등에는 고유명사임에도 정관사가 붙는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많은 것 들 중 일부를 선발해서 하나의 특정한 것으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Smiths는 Smith라는 이름을 가진 많은 사람들 중에 특별한 가족을 가리키고 있다. The United States는 세상에 많은 state중 특정 state를 선발하여 만든 나라임을 나타내고 있다. The Netherlands는 바다보다 아래(nether) 있는 땅(land)중에 일부 선발하여 만든 나라다.
그러면 왜 the Nile, the Mediterranean, the Suez, the Pacific, the Sahara 같은 강, 해협, 운하, 바다, 사막 이름에 정관사를 붙일까? 이들 역시 이미 널리 존재하는 것들 중에 일부를 택하여 즉 선발하여 붙인 이름이기 때문이다. 바다나 강 그리고 사막은 지구상 많은 곳에 존재하는 사물이다. 그 중에 선발된 강과 사막에 나일강 또는 사하라 사막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Andy Dufresne: You know what the Mexicans say about the Pacific? 태평양을 멕시코 사람들이 뭐라고 하는지 알아요?
Red: No. 아니
Andy Dufresne: They say it has no memory. That’s where I want to live the rest of my life. A warm place with no memory. 그들은 태평양은 기억이 없다고 하지요. 그 곳이 내가 남은 인생을 살고 싶은 곳입니다. 기억이 없는 따뜻한 곳. <쇼생크 탈출>
배(the Mayflower), 열차(the Saemaul), 공공 건물(the White House, the British Museum)에는 정관사를 붙이지만 역, 공항, 항구, 공원(Seoul Station, Heathrow Airport, Hyde Park)등의 이름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 왜 그럴까? 역시 ‘선발 된 것’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배, 열차, 건물은 수없이 많이 있다. 이들 중에 특별히 선발하여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다. 선발된 것이기 때문에 정관사를 붙여 주어야 한다. 반면 역, 공항, 항구, 공원은 강, 사막, 배, 열차, 건물처럼 많지가 않다. 역 공항 항구 공원은 사람이 만들어 낸 것이고 그곳에 고유한 이름을 지어주었으니 고유명사다. 고유명사에는 정관사를 붙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정관사 the는 Good 또는 rich, young 등과 같이 인간의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그런 부류의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로 변화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the rich’는 ‘rich people’이라는 뜻을 가진다. 많은 사람들 중에 부자를 선발하여 the rich라고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the rich는 보통 복수가 된다.
JONATHAN SHIELDS: Georgia, love is for the very young. 조지아, 사랑은 바로 젊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야. <THE BAD AND THE BEAUTIFUL>
Helen: What on earth do you think the baby will be doing? 넌 베이비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거야.
Edna: Well, I am sure I don’t know, darling. Luck favors the prepared. 내가 그것을 모른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행운은 준비된 사람을 더 좋아해. <인크레더블 The Incredibles, 2004>
관사의 원칙에 있어 첫 부분은 “명사에서 어떤 명사의 속성을 나타내고 싶을 때는 관사 없이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이 말은 관사가 없는 명사가 나타난다면 속성을 의미한다고 해석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ITZAK STERN: The list is an absolute good. The list is life. 이 목록은 정말 좋은 것이군. 이 목록은 생명이야.<SCHINDLER’S LIST Universal, 1993>
여기서 ‘life’는 누구의 생명이 아니라 일반적인 생명을 의미하게 된다. 반면에 게임을 한다고 할 때는 보통 ‘a game’이라고 관사가 붙는다.
JOSHUA THE COMPUTER: Would you like to play a game? 게임을 한번 하고 싶나?<WARGAMES MGM, 1983>
하지만 구체적인 운동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 식사, 운동 경기, 병, 학과, 계절의 이름은 속성을 나타내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Forrest Gump: Teaching him how to play ping-pong. He’s really good. 그 아이에게 탁구를 가르치는 것. 그 아이는 정말 잘해. <포레스트 검프 1994>
[1] 꼬투리. 작은 떼, 몰아서 한데 모아놓다
[2] 광기, 정신 이상, 미친 짓
[3] (말 등이) 전속력으로 달리다, 질주하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