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ed, it is easier for a camel to go through the eye of a needle than for a rich man to enter the kingdom of God.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쉬우니라 하시니 -누가복음 18:25
단순해지기를 원하노니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어떤 관리가 예수에게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을 수 있을지를 물었다. 이 관리는 성경의 모든 계명도 어려서부터 다 지켜 왔다고 이야기 한다. 그럼에도 예수께서는 “아직도 한 가지 부족한 것이 있으니 네게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눠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네게 보화가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 You still lack one thing. Sell everything you have an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have treasure in heaven. Then come, follow me. -–누가복음 18:22)”라고 말씀하신다. 그 관리가 곤란한 듯 고민하자 재물이 있는 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려주고 계시는 장면이다.
그런데 왜 부자들은 천국에 들어가기가 어렵다고 말씀하고 계신 것일까? 사실은 예수도 구체적인 설명을 해주시지 않은데다가 누구도 천국에 다녀와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해주는 사람이 없으니 정답을 구하기가 쉽지 않게 되어 있다. 천국이라는 말은 구약에는 없다. 천국이라는 단어는 신약에 처음 등장하는 단어라는 의미다. 우리말 성경에 천국이라는 단어는 모두 37번 등장하는데 36번이 마태복음에 등장한다. 이 단어에 해당하는 영어는 ‘the kingdom of heaven’이다. 천국이라는 표현의 나머지 하나는 디모데후서에 나오는데 영어로는 ‘heavenly kingdom’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천국이라는 말과 유사한 표현으로 ‘하나님 나라’ 또는 ‘하나님의 나라’라는 표현이 있는데 역시 신약에만 등장하며 영어로는 ‘the kingdom of God’ 또는 ‘the kingdom’으로 표기하고 있다.
마태복음에는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 –마태복음 5:3)”라는 구절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누가복음의 기록은 “너희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 것임이요 Blessed are you who are poor, for yours is the kingdom of God. – 누가복음 6:20)”이다. 여기서 우리는 천국(the kingdom of heaven)과 하나님 나라(the kingdom of God)는 같은 의미로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예수는 이 ‘하나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 즉 ‘천국(the kingdom of heaven)’이 우리들 마음속에 있다고 가르치고 있다.
“The kingdom of God does not come with your careful observation, nor will people say, ‘Here it is,’ or ‘There it is,’ because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 누가복음 17:20~21)
그렇다면 부자들이 천국에 가기 어려운 이유를 우리들 마음에서 찾아 봐야 할지도 모른다.

영어의 기본 원칙은 <주어 + 동사>의 형태로 결론부터 이야기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순서에 의해 궁금증을 해소해 나간다. 이 주어와 동사가 명사 한 단어 그리고 동사 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면 영어는 훨씬 쉬워진다. 하지만 그 만큼 표현의 풍요함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래서 몇 개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동사 역할을 하듯이, 명사도 여러 단어의 도움을 받아 더 세련되고 정확한 묘사를 만들어 낸다.
동사도 명사도 다른 품사와 협력하여 더 세련된 모습으로 탄생한다. 그런 협력에도 나름대로의 규칙이 존재한다. 그 중에 하나가 단순함의 원칙이다. 우리말이든 영어이든 짧고 간결할수록 좋은 문장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 방법 중 하나가 명사의 대리 역할을 하는 대명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명사역할을 하는 것 모든 것이 주어가 될 수 있지만, 주어를 문장 처음에 길게 사용하는 것이나 부정사들을 주어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경우 대명사를 가주어로 사용해 보다 단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To go through a needle’s eye is easier.” 보다는 ““It is easier to go through a needle’s eye.”가 보다 자연스럽다는 이야기다. 복잡하고 긴 주어 대신 it으로 문장을 시작하고 나중에 그 it이 무엇이라는 것을 설명해 줌으로써 더 간결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목적어도 마찬가지다. 만약 길게 설명해야 할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면 가 목적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나중에 그 목적어를 설명하면 된다.
대명사는 이처럼 명사가 길어질 경우 간략하게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명사다. 대명사는 용도에 따라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 관계대명사로 분류되며, 문맥에서 어떤 특정한 것을 가리키는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나중에 다시 정리할 것임으로 여기서는 인칭 지시 부정 의문 대명사만 우선 살펴보도록 한다.
한 마디로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인칭대명사에는 1인칭 2인칭 3인칭이 있고, 3인칭은 남성 여성 등 성이 있고 단수와 복수가 있으며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다.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남성은 ‘he’ 여성은 ‘she’로 표현하고 있고 이들이 모이면 성과 상관없이 모두 ‘they’가 됨으로 실제적으로는 I, you, he, she, they 이 5개의 주격, 소유격, 목적격을 알고 있으면 된다.
다음의 예문에는 I, you, he의 주격, 소유격 그리고 목적격이 등장한다. 우리말에도 이런 격이 있지만 우리는 이, 가, 의, 를, 을, 에게 등 토씨를 붙여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His father Isaac asked him, “Who are you?” “I am your son,” he answered, “your firstborn, Esau.” 그의 아버지 이삭이 그에게 이르되 너는 누구냐 그가 대답하되 나는 아버지의 아들 곧 아버지의 맏아들 에서로소이다 – 창세기 27:32)
who(누가) whose(누구의), whom(누구를), which(어느 것) what(무엇) 역시 대명사로 의문문에 사용됨으로 의문대명사라고 부르며 some, any, one, other, another, each, either, both, neither 등은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수량을 가리킴으로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다는 의미로 부정대명사(不定代名詞)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주 사용하는 부정 대명사 몇 개의 쓰임새를 살펴보고 넘어가기로 하자.
모두를 지칭하는 긍정의 부정대명사: all, both, every, each
The man and his wife were both naked, and they felt no shame.
아담과 그의 아내 두 사람이 벌거벗었으나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니라 창세기 2:25)
일부를 지칭하는 부정대명사: some, any
Any of you who do not give up everything you have cannot be my disciple.
이와 같이 너희 중의 누구든지 자기의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 – 누가복음 14:33)
She took some and ate it. She also gave some to her husband.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 창세기 3:3)
일반적인 것을 가리키는 부정대명사: one, other, the other, another, either, none, neither
I know your deeds, that you are neither cold nor hot. I wish you were either one or the other.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 네가 차지도 아니하고 뜨겁지도 아니하도다 네가 차든지 뜨겁든지 하기를 원하노라 – 요한계시록 3:35)
other은 [다른]의 뜻으로 the를 붙여 the other은 둘 중에 나머지 하나의 뜻을 나타낸다.
The man who had received the five talents brought the other five. ‘Master,’ he said, ‘you entrusted me with five talents. See, I have gained five more. 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 마태복음 25:20)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