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ill do what you have asked. I will give you a wise and discerning heart, so that there will never have been anyone like you, nor will there ever be. 내가 네 말대로 하여 네게 지혜롭고 총명한 마음을 주노니 네 앞에도 너와 같은 자가 없었거니와 네 뒤에도 너와 같은 자가 일어남이 없으리라 – 열왕기상 3:12
육하원칙으로 궁금증을 해결하시니라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다윗은 강력한 왕이었으나 초기 왕국이 그렇듯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의 아들 솔로몬에 이르러 이스라엘 왕국은 전성기를 이룬다. 위의 문장은 솔로몬이 왕이 된 후 어느 날 밤 꿈속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장면이다.
하나님께서 솔로몬에게 “내가 네게 무엇을 줄꼬 너는 구하라 (Ask for whatever you want me to give you.)”라고 말하자 솔로몬은 “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 주의 백성을 재판하여 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 (So give your servant(솔로몬 자신) a discerning heart to govern your people and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라고 답한다. 이에 하나님이 기쁜 마음으로 답하는 내용이 위의 문장이다. 솔로몬은 그렇게 ‘지혜의 왕’이 되었다.
솔로몬에 대한 이야기가 구약성서 이외의 다른 역사의 기록에는 없지만, 전설이나 이야기로는 많이 남아 있다. 이스라엘 민족의 지혜서라고 하는 탈무드는 물론 중동의 민화에도 솔로몬은 지혜의 왕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 유명한〈아라비안 나이트 The Arabian Nights〉에 등장하는 거인 마법사 지니(jinn)를 호리병 속에 가두어 바다에 던진 사람도 솔로몬이다.
솔로몬이 실제로 쓴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신학자들간에도 논쟁이 있지만, 성경의 20번째인 잠언(The Proverbs)의 표제는 ‘솔로몬의 잠언the Proverbs of Solomon’이다. 모두 31장임으로 매일 한 장씩 읽고 30일밖에 없는 달에 마지막 두 장을 읽으면 매 달 한번을 읽을 수 있다.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또 방들은 지식으로 말미암아 각종 귀하고 아름다운 보배로 채우게 되느니라 지혜 있는 자는 강하고 지식 있는 자는 힘을 더 하나니 By wisdom a house is built, and through understanding it is established; through knowledge its rooms are filled with rare and beautiful treasures. A wise man has great power, and a man of knowledge increases strength – 잠언 24:3~5)”

동사가 두 종류의 목적어를 동시에 취하는 경우가 있다. 「~에게」라는 뜻을 갖는 간접 목적어와 「~을(를)」이라는 뜻의 직접목적어가 그것이다. 우리말에서 ~에게는 목적어가 아님으로 혼동이 올 수 있다. 기억을 더듬으면 혹시 학교에서 4형식 문장이라고 부르던 것을 기억할 수 있을지 모른다.
I will give you a wise heart < ☞ you가 간접목적어, a wise heart 가 직접목적어 >
이 4형식을 우리가 정의한 <어순식>에 대입하면, (누구?)와 (무엇?)에 대한 궁금증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그래서 이런 문장에 사용되는 동사를 두개의 목적어를 가진다는 의미로 ditransitive verbs 또는 double object verbs라고 부른다.
S+V + (who(누구)+what(무엇)) + [where+why+how+when]
이런 표현도 결국은 동사가 결정하는 것임으로 동사 유형별로 익혀두면 도움이 된다. 이 유형의 동사는 대부분 우리말의 ~주다 또는 ~해주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수여동사다.
Give형 동사 ~에게 ~을 주다
모든 4형식 문장은 ‘give’라는 동사와 ‘give’동사는 아니지만 ‘give’동사의 의미 즉 “주다”라는 의미가 첨가될 수 있는 동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4형식의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한다. 여기에 속하는 동사는 대체로 주다, 해주다, 보아주다, 가져다 주다 와 같이 우리말의 [~주다]라는 말을 붙여 해석할 수 있는 동사들이다.
buy (“~에게 ~을 사주다”)
Go back and buy us a little more food 다시 가서 우리를 위하여 양식을 조금 사오라 – 창세기 43:2)
show ( “~에게 ~을 보여주다”)
Show me the coin used for paying the tax.” They brought him a denarius . 세금 낼 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 왔거늘 – 마태복음 22:19)
send ( “~에게 ~을 보내 주다)
Therefore I am sending you prophets and wise men and teachers. Some of them you will kill and crucify ; others you will flog in your synagogues and pursue from town to town.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선지자들과 지혜 있는 자들과 서기관들을 보내매 너희가 그 중에서 더러는 죽이고 십자가에 못 박고 그 중에 더러는 너희 회당에서 채찍질하고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구박하리라 – 마태복음 23:34)
tell (“~에게 ~을 말해 주다”)
I tell you the truth. No one can see the kingdom of God unless he is born again. –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요한복음 3:3)
teach (“~ 에게 ~을 가르쳐 주다)
Now go; I will help you speak and will teach you what to say. -이제 가라 내가 네 입과 함께 있어서 할 말을 가르치리라 – 출애굽기 4:12)
ask ( “~에게 ~을 물어보다”)
We also asked them their names, so that we could write down the names of their leaders for your information. 우리가 또 그 우두머리들의 이름을 적어 왕에게 아뢰고자 하여 그들의 이름을 물은즉 – 에스라 5:10)
get ( “~에게 ~을 갖다 주다)
Let me get you something to eat, so you can be refreshed and then go on your way. 내가 떡을 조금 가져오리니 당신들의 마음을 쾌활케 하신 후에 지나가소서 – 창세기 18:5)
자동사로 (who+what)을 해결하는 방법
어떤 자동사들은 전치사를 이용해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에게 ~을 주다>에서 ‘~을’이라는 토씨를 전치사로 만들어 쓸 수 있는 동사가 있다. 수여동사는 아니지만 수여동사처럼 [~에게 ~을 주다]는 표현이 가능해 진다는 말이다.
inform 형
Let us fear the LORD our God, who gives autumn and spring rains in season, who assures us of the regular weeks of harvest. 또 너희 마음으로 우리에게 이른 비와 늦은 비를 때를 따라 주시며 우리를 위하여 추수 기한을 정하시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자 말하지도 아니하니 – 예레미야 5:24)
Continue in what you have learned and have become convinced of.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 디모데후서 3:14) convince A of B: A에게B를 확신시키다.
Did you come to remind me of my sin? 너는 나에게 나의 죄를 생각나게 하기 위하여 왔는가? -열왕기 17:18) remind A of B: A에게B를 생각나게 하다
She said to her mistress , “If only my master would see the prophet who is in Samaria! He would cure him of his leprosy. 그 주모에게 이르되 우리 주인이 사마리아에 계신 선지자 앞에 계셨으면 좋겠나이다 저가 그 문둥병을 고치리이다 – 열왕기하 5:3)
Provide형
이런 유형의 동사 역시 전치사와 함께 수여동사처럼 사용된다.
Therefore encourage each other with these words. 그러므로 이러한 말로 서로 위로하라 – 데살로니가전서 4:18)
위의 성경구절은 앞에서 언급한 이런 저런 말들을 가지고 서로 격려하라는 말이다. 즉 각자에게 이러한 말(these words)을 서로에게 주면서 격려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With는 ‘~을 가지고’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전치사다. 이 전치사가 다음의 동사들과 어울리면 우리 말로 단순히 ‘~을’로 해석되면서, 다음과 같이 각기 ‘주다 ’라는 의미를 내포한 영어 표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present A with B: A에게B를 주다, provide A with B: A에게B를 공급하다, furnish A with B: A에게B를 제공하다, charge A with B: A에게B를 부과하다, supply A with B: A에게B를 공급하다, trust A with B: A에게B를 맡기다. entrust A with B: A에게B를 위임(위탁)하다.
God has presented me with a precious gift 하나님이 내게 후한 선물을 주시도다 – 창세기 30:20).
Command those who are rich in this present world not to be arrogant nor to put their hope in wealth, which is so uncertain, but to put their hope in God, who richly provides us with everything for our enjoyment. 네가 이 세대에서 부한 자들을 명하여 마음을 높이지 말고 정함이 없는 제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 오직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 –디모데전서 6:17)
So if you have not been trustworthy in handling worldly wealth, who will trust you with true riches? 너희가 만일 불의한 재물에 충성치 아니하면 누가 참된 것으로 너희에게 맡기겠느냐 누가복음 16:11)
The man who had received the five talents brought the other five. ‘Master,’ he said, ‘you entrusted me with five talents. See, I have gained five more. 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 마태복음 25:20)
영어 문장의 해석이 우리말로 [~에게 ~을 주다]로 해석되지는 않지만 영어표현 구조상 위와 유사한 형태의 표현이 있다.
Prevent (from)형: deter, keep, prevent, prohibit, stop /distinguish, know, tell/ exempt, free
The soldiers planned to kill the prisoners to prevent any of them from swimming away and escaping. 군사들은 죄수가 헤엄쳐서 도망할까 하여 그들을 죽이는 것이 좋다 하였으나 – 사도행전 27:42)
Blame(for)형: blame, criticize, punish, change, exchange, compensate, substitute, ask
“If a man hits a manservant or maidservant in the eye and destroys it, he must let the servant go free to compensate for the eye. 사람이 그 남종의 한 눈이나 여종의 한 눈을 쳐서 상하게 하면 그 눈에 대한 보상으로 그를 놓아 줄 것이며 – 출애굽기 21:26)
Regard(as) 형: regard, refer, treat, consider, describe, define, strike, think of, look upon
Does he not regard us as foreigners? Not only has he sold us, but he has used up what was paid for us. 아버지가 우리를 팔고 우리의 돈을 다 먹었으니 아버지가 우리를 외인으로 여기는 것이 아닌가 – 창세기 31:1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