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e’s the thing about the future.


🎬 영화 “넥스트(Next)” – 미래를 보는 남자, 크리스 존슨의 독백

“미래에 대해 한 가지 말하자면요.”

📖 오늘의 문장: “Here’s the thing about the future.”

  • 발음 (Pronunciation Analysis & Korean Guide):
    • IPA (미국식): /hɪrz ðə ˈθɪŋ əˈbaʊt ðə ˈfjuːtʃər/
    • 한글표현 발음 (강세 표시: 굵게): 히얼즈더 어바웃더 쳐.
      • (한글 표기는 참고용이며, 실제 소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 주요 소리 변화 포인트 (Connected Speech):
    1. Here’s the → /hɪrzðə/ (히얼즈더):
      • [연음: 자음+자음] Here’s의 끝 자음 /z/와 the의 첫 자음 /ð/가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이때 /z/와 /ð/는 조음 위치가 비슷하여 부드럽게 연결됩니다. the는 기능어이므로 약한 /ðə/(더)로 발음됩니다.
    2. thing about → /θɪŋəˈbaʊt/ (띵어바웃):
      • [연음: 자음+모음] thing의 끝 자음 /ŋ/과 about의 첫 모음 /ə/(슈와)가 연음되어 ‘띵어바웃’처럼 소리 납니다.
    3. about the → /əˈbaʊtðə/ 또는 /əˈbaʊɾə/ (어바웃더/어바우러):
      • [연음: 자음+자음] & [유화(Flapping) 가능성] about의 끝 /t/와 the의 /ð/가 연결됩니다. 미국 영어의 빠른 발음에서는 t가 유화되어 /ɾ/(르/드) 소리로 변해 ‘어바우러’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4. 문장 강세 & 리듬: 중요한 내용어인 thing과 future에 강세가 실립니다. “미래에 대한 핵심(thing)”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thing에, 주제어인 future에 힘을 줍니다. 기능어(Here’s, the, about)는 약하게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히얼즈더 띵 어바웃더 쳐.”와 같은 리듬감을 형성합니다.

✨ 유용한 표현 (덩어리 표현 & 어휘)

  • 덩어리(Chunk)로 기억할 만한 문구:
    • Here’s the thing (about…)… → [히얼즈더 띵 (어바웃)…] (중요한 건 말이야… / ~에 대해 한 가지 말하자면…)
      • 설명: 어떤 주제에 대해 핵심적인 사실이나 문제점을 이야기하기 시작할 때 사용하는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 You’d be shocked to know that… → [유드비 샥트투 노우댓…] (~라는 걸 알면 깜짝 놀랄 거야.)
      • 소리 변화: shocked to 연음(t와 t가 만나 한 번만), know that 연음.
    • It’s the real deal. → [잇츠더 뤼얼딜.] (그건 진짜야. / 장난이 아니야.)
      • 소리 변화: It’s the 연음, real deal 연음.

  • 꼭 알아둘 어휘 (Key Vocabulary):
    • mentalist: (독심술 등을 하는) 멘탈리스트.
    • illusionist: 환상술사, 마술사.
    • masquerade as…: ~인 체하다, ~으로 가장하다.
    • hiding in plain sight: 모두가 보는 곳에 숨어 있기 (등잔 밑이 어둡다는 의미).
    • two-bit: 싸구려의, 시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