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nded Wisdom from 30 Movies and 88 Books

-
둘째날 제 2 교시 훈련학 시간: 무의식에로의 위임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2004년 영화 <밀리언 달러 베이비>의 제목은 모든 상품이 5센트나 10센트에 판매되는 가게에서 백만 불 이상의 가치를 지닌 물건을 발견한다는 70년대 한 노래 가사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 예상하지 못했던 허름한 곳에서 보물 같은…
-
둘째날 제 1 교시 교육학 시간: 단어에서 이야기까지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영화 <메멘토, 2000>의 주인공 레너드(가이 피어스)는 이전 일은 다 기억하면서도 새로운 일은 10분마다 잊어버리게 되는 기억상실증 환자다. 전직이 보험 수사관이었던 레너드에게 기억이란 없다. 자신의 아내가 강간당하고 살해되던 날의 충격으로 기억을 10분 이상…
-
Day 1 Class 3 Cognitive Science – Memory Networks
Go to Korean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movie “Paycheck” (2004), the protagonist Michael Jennings (played by Ben Affleck) is accustomed to erasing his own memories. A brilliant engineer, Jennings works on top-secret projects for various companies and…
-
첫날 3 교시 인지과학 시간: 기억의 네트워크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영화 <페이첵, 2004>의 주인공 마이클 제닝스(벤 애플릭)는 자신의 기억을 지우는 데 익숙하다. 천재 공학자인 마이클 제닝스는 각종 회사의 일급 프로젝트를 수행한 후 기밀유지를 위해 그와 관련한 기억을 제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한…
-
Day 1 Class 2: Neuroscience Class – A Cascade of Thoughts
Go to Korean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The 1988 Academy Award-winning movie Rain Man is inspired by the real-life individual Kim Peek. Dubbed a “walking encyclopedia,” Peek is said to have memorized over 10,000 books. While the United States…
-
첫날 2교시 뇌과학시간: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1988년 아카데미에서 남우주연, 각본, 감독,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레인맨 Rain Man>은 실제 인물 킴 픽Kim Peek을 모델로 하고 있다.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이라고 불리는 킴 픽은 실제로 1만권의 책을 암기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
-
Day 1 Class 1 Philosophy 101: The Pretend Smart vs. The Truly Smart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Go to Korean Version In the year 2505, America is full of fools. Even the president has an IQ that does not exceed 100. This is the world depicted in the movie “Idiocracy, 2006”. Idiocracy, a…
-
첫날 제 1 교시 철학개론 시간: 헛똑똑이와 참똑똑이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2505년 미국에는 바보투성이다. 대통령조차 아이큐가 100을 넘지 않는다. 영화 <이디오크러시, 2006>가 그리는 세상이다. 이디오크라시(Idiocracy)는 바보(idiot)와 정치(cracy)의 합성어이니 ‘바보들의 정치’ 쯤으로 해석될 만하다. 고학력 지식인 계층은 점점 출산을 기피하여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