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 서로 연결되더라
All of them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in other tongues as the Spirit enabled them.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 사도행전 2:4
예수가 돌아가신 지 50일이 지난 어느 날, 제자들이 함께 모여 기도를 하고 있었다. 이 때 이들에게 성령이 내려와 각자 배운 적이 없는 언어로 말을 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과거 바벨탑사건으로 갈라진 언어가 다시 통합하는 모습이라고 해야 할까?
이 성령(the Holy Spirit)이 내려온 사건을 예언한 듯한 구절이 구약성경 성경순서로 보면 29번째인 요엘에 기록되어 있다.
And afterward, I will pour out my Spirit on all people. Your sons and daughters will prophesy[1], your old men will dream dreams, your young men will see visions. 그 후에 내가 내 영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 자녀들이 장래 일을 말할 것이며 너희 늙은이는 꿈을 꾸며 너희 젊은이는 이상을 볼 것이며. – 요엘 2:28
예수가 돌아가신 후 초기 제자들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 사도행전이다. 위의 사건이 있은 후 예수의 제자들은 유대인이라는 민족적 한계를 넘어 로마와 이집트 그리고 아라비아 등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한다. 많은 박해에도 불구하고 313년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밀라노 칙령에 의해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가 되었고, 결국은 유럽의 종교 그리고 세계인의 종교가 되었다.
[1] Prophesy 예언하다, 예측하다 Prophecy는 명사로 예언, 예언서

하나의 문장은 주어 하나 동사 하나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주어와 동사로 구성된 절이 두개 이상 연결돼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길고 복잡해 보이지만 절(Phrase)이라는 것을 긴 문장구성 요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절이라는 것이 그래서 결국 하나의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로 전 장에서는 절이 명사의 역할을 하도록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부사의 역할을 하는 어디에?, 왜? 어떻게? 언제? 등의 표현을 살펴보자. 다시 강조하지만, 부사절도 결국은 부사이다. 그리고 부사절은 아래에 정리된 접속사를 절의 맨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간단히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음은 우리의 <어순식> 순서에 따라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정리한 것이다.
육하원칙의 부사 | 생각뭉치 | 접속사 |
Where | 그래서 어디서 장소의 부사절 | Where, Wherever |
Why 형 | 그런데 왜? 원인의 부사절 | Because(~이기 때문에, 왜냐하면), since, as |
How 형 | 그래서 어떻게? 형태의 부사절 | As(~한 것처럼) |
그래서 어떻게? 결과의 부사절 | so that∼may (=in order that∼may). lest∼should(=for fear∼should) , so∼that, such∼that, so that | |
When 형 | 그런데 언제? 시간의 부사절 | when (∼할 때) while (∼하는 동안) as (∼하면서) before (∼하기 전에) after(~한 후에) till (=until) (∼때까지) since (∼이후로) as soon as (∼하자마자) |
어디서? 장소의 부사절
장소의 부사절을 이끌고 오는 경우는 관계부사라고 불리는 where가 사용될 때이다.
Go to the village, where you will find a donkey tied there and a colt with her. 마을로 가라. 거기서 너는 당나귀와 새끼 한 마리가 묶여 있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왜? 이유·원인의 부사절
주어 동사로 표현된 내용에 대한 왜(Why?)의 궁금증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표현이 ‘because’다.
The kingdom of God does not come with your careful observation, nor will people say, ‘Here it is,’ or ‘There it is,’ because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 누가복음 17:20~21)
하나님 나라가 우리가 안에 있기 때문에 “여기 있다 저기 있다”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어떻게? 방법과 결과의 부사절
as ~처럼
His heart was not fully devoted to the LORD his God, as the heart of David his forefather had been. 그의 마음이 그의 조상 다윗의 마음과 같지 아니하여 그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 온전하지 못하였으나 -열왕기상 15:3)
As ~so ~것 같이, 따라서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그렇게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 요한복음 13:34)
so∼that ~했기에, 그래서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3:16)
so that 그래서
The God of hope may fill you with all joy and peace as you trust in him, so that you may overflow with hope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 로마서 15:13)
언제? 시간의 부사절
when, while (∼할 때)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동안(때)
as (∼하면서)
As Solomon grew old, his wives turned his heart after other gods, and his heart was not fully devoted to the LORD his God, as the heart of David his father had been. 솔로몬의 나이가 많을 때에 그의 여인들이 그의 마음을 돌려 다른 신들을 따르게 하였으므로 왕의 마음이 그의 아버지 다윗의 마음과 같지 아니하여 그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 온전하지 못하였으니 – 열왕기상 11:4)
as soon as ~하자마자
As soon as you find him, report to me. – 마태복음2:8)
since ~한 이래로
Thirty days have passed since I was called to go to the king. 내가 부름을 입어 왕에게 나가지 못한 지가 이미 삼십 일이라 – 에스더 4:11)
until -까지,
Only hold on to what you have until I come. 다만 너희에게 있는 것을 내가 올 때까지 굳게 잡으라 – 요한계시록 2:25)
by the time – 할 때쯤
By the time the sun is hot tomorrow, you will be delivered. 내일 해가 더울 때에 너희가 구원을 받으리라 – 사무엘상 11:9)
before (∼하기 전에)
You yourself will disown[1] me three times before the rooster crows[2] twice. 오늘 이 밤 닭이 두 번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 마가복음 14:30)
접속부사
그 밖에 접속사는 아니지만 부사로서 문장을 연결해 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이 있다. 문법책에 나오는 접속부사를 포함하는 이런 단어들은 문장간의 관계를 더 매끄럽게 표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런 부사로는 But(그러나)과 유사한 의미의 however(그렇지만), never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none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yet(~하지만), still(그럼에도) 그리고 결과를 의미할 때 사용하는 accordingly(따라서), consequently(결과적으로), hence(따라서), so(그와 같이), therefore(그러므로), thus(그러므로), as a consequence(결과적으로), as a result 또 부가적인 설명이나 화제를 전환할 때 사용하는 further(더 나아가서), furthermore(더욱이), moreover(게다가), above all(무엇보다도), meantime(한편), meanwhile(한편), by the way(그건 그렇고) 등이 있다.
예를 하나만 들어보자. yet은 but 즉 ‘그러나’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but은 「전후 내용이 상반된 경우를 놓고 둘 중 하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경우」이지만 yet은 다음의 성경구절과 같이 「전후 내용이 상반되긴 하나 ‘그러나 동시에’ 정도의 의미로 양 쪽 모두를 인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우리말 성경은 ‘~같으나’라는 말을 사용하여 yet 이후를 더 강조하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poor, yet making many rich; having nothing, and yet possessing everything.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고 가난한 자 같으나 많은 사람을 부요하게 하고 아무 것도 없는 자 같으나 모든 것을 가진 자로다 – 고린도후서 6:10)
[1] 자기 것이 아니라고 말하다
[2] 새가 울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