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gin to speak in other tongues as the Spirit enabled them

글이 서로 연결되더라

All of them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in other tongues as the Spirit enabled them.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 사도행전 2:4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1] Prophesy 예언하다, 예측하다 Prophecy는 명사로 예언, 예언서

<Source: FreeBibleimages :: The Holy Spirit comes :: God sends the promised Holy Spirit at Pentecost (Acts 2:1-13)>

하나의 문장은 주어 하나 동사 하나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주어와 동사로 구성된 절이 두개 이상 연결돼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길고 복잡해 보이지만 절(Phrase)이라는 것을 긴 문장구성 요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절이라는 것이 그래서 결국 하나의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로 전 장에서는 절이 명사의 역할을 하도록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부사의 역할을 하는 어디에?, 왜? 어떻게? 언제? 등의 표현을 살펴보자. 다시 강조하지만, 부사절도 결국은 부사이다. 그리고 부사절은 아래에 정리된 접속사를 절의 맨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간단히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음은 우리의 <어순식> 순서에 따라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정리한 것이다.

육하원칙의 부사생각뭉치접속사
Where그래서 어디서 장소의 부사절Where, Wherever
Why 형그런데 왜? 원인의 부사절Because(~이기 때문에, 왜냐하면), since, as
How 형그래서 어떻게? 형태의 부사절As(~한 것처럼)
그래서 어떻게? 결과의 부사절so that∼may (=in order that∼may). lest∼should(=for fear∼should) , so∼that, such∼that,  so that
When 형그런데 언제? 시간의 부사절when (∼할 때) while (∼하는 동안) as (∼하면서) before (∼하기 전에) after(~한 후에) till (=until) (∼때까지) since (∼이후로) as soon as (∼하자마자)


어디서? 장소의 부사절

왜? 이유·원인의 부사절

주어 동사로 표현된 내용에 대한 왜(Why?)의 궁금증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표현이 ‘because’다.

하나님 나라가 우리가 안에 있기 때문에 “여기 있다 저기 있다”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어떻게? 방법과 결과의 부사절


언제? 시간의 부사절

그 밖에 접속사는 아니지만 부사로서 문장을 연결해 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이 있다. 문법책에 나오는 접속부사를 포함하는 이런 단어들은 문장간의 관계를 더 매끄럽게 표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런 부사로는 But(그러나)과 유사한 의미의 however(그렇지만), never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none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yet(~하지만), still(그럼에도) 그리고 결과를 의미할 때 사용하는 accordingly(따라서), consequently(결과적으로), hence(따라서), so(그와 같이), therefore(그러므로), thus(그러므로), as a consequence(결과적으로), as a result  또 부가적인 설명이나 화제를 전환할 때 사용하는 further(더 나아가서), furthermore(더욱이), moreover(게다가), above all(무엇보다도), meantime(한편), meanwhile(한편), by the way(그건 그렇고) 등이 있다.

예를 하나만 들어보자. yet은 but 즉 ‘그러나’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but은 「전후 내용이 상반된 경우를 놓고 둘 중 하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경우」이지만 yet은 다음의 성경구절과 같이 「전후 내용이 상반되긴 하나 ‘그러나 동시에’ 정도의 의미로 양 쪽 모두를 인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우리말 성경은 ‘~같으나’라는 말을 사용하여 yet 이후를 더 강조하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1] 자기 것이 아니라고 말하다

[2] 새가 울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