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Therefore everyone who hears these words of mine and puts them into practice is like 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그러므로 누구든지 나의 이 말을 듣고 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으리니 – 마태복음 7: 24

단순해지기를 원하노니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Source:https://freebibleimages.org/>


외국인으로서 영어를 조금 하는 사람들도 자신 없어 하는 단어가 a 와 the 라는 관사다. 영어가 자신의 언어인 경우 그 느낌을 아니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외국인인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매우 난감한 과제이다. 물론 문법책에 나오는 여러 용법에 익숙해 지는 방법이 있지만, 우리는 여기서 아주 간단한 가설을 세우고 이 가설이 맞는지 여정을 떠나 보기로 하자.


우리의 가설에 의하면 a라는 부정관사는 여러 개 중에서 아무런 기준 없이 무작위로 그야말로 골라잡은 것 중에 하나를 의미한다. 정말 그럴까? 그런 의문을 가지고 성경에 나오는 구절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우리의 가설이 검증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가 필요하겠지만, 위의 예로 보아서 우리의 가설을 당분간 유지할 가치가 있어 보이지 않는가? 앞으로 관사관련 가설을 더 검증해 보기로 하고, 이제 몇 가지 부정관사의 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부정관사던 정관사이던 관사는 보통은 명사를 꾸미는 모든 것을 하나의 그룹으로 보고 다음처럼 그 그룹을 지칭하는 명사구의  맨 앞에 온다.  


(a + 부사 + 형용사 + 명사)  



그런데 half, many, such, quite, what, rather 등은 부정관사 보다 앞에 위치하는 특별한 단어다. 예를 들어 “Don’t even eat with such a person.” 에서 부정관사 a가 such다음에 나타난다. 그런데 이 예문을 해석하면 “그런 사람과는 밥도 함께 먹지 말아라.”가 된다. 도대체 어떤 사람이길래 밥도 같이 먹지 말라는 것일까? 성경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다.

특정한 어떤 사람이 아니라 위에 열거한 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 무작위로 뽑은 어떤 사람과도 사귀지 말라는 것이다.


부정관사의 특별한 용법


부정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에만 붙여야 한다. 명사에는 5형제가 있다. 보통명사, 집합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 그리고 고유명사가 그 것이다. 이들 중 추상명사와 물질명사는 정의상 셀 수 없는 것들을 가리킨다. 셀 수 없는 명사에는 ‘하나’라는 의미를 가진 부정관사 ‘a’를 붙일 수 없다는 이야기다. 추상명사는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를 말한다.

에덴 동산의 ‘선악과 나무’는 영어 성경에는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라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tree는 보통명사다. 반면 knowledge(지식), good(선), evil(악) 등은 추상적인 개념을 의미함으로 추상명사다. 그 밖에 experience(경험), success(성공), education(교육), kindness(친절), youth(젊음), beauty(미), advice(충고), happiness(행복), luck(행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을 의미하는 단어 들은 모두 추상명사다.  


그런데 이런 추상명사가 구체적인 행위, 경험, 기회 등을 나타낼 때에는 보통명사처럼 쓰여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쓸 수 있다. 이를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라고 한다. 아래의 전도서 구절은 구체적인 행위의 시간(time)에 부정관사를 붙여 보통명사로 사용한 좋은 예이다.

반면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질을 나타내는 명사를 물질명사라 한다. 따라서 셀 수 없는 명사로서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물질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이므로 양(量)을 표시하는 much, little, some, any, no 등과 같은 수량 형용사를 써서 양을 표시한다. 또 물질명사를 수로 나타내야 하는 경우에는 「수사+단위명사+of+물질명사」의 형태로 표시해야 한다. a glass of water(물 한 잔)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하지만 물질명사가 특별한 것으로 지정(한정) 될 때는 정관사 the를 사용할 수 있다. 정관사 용법은 잠시 후 다시 살펴볼 것이다.

아무 물이 아니라 내가 주는 물이라는 특정한 물이다. 이런 의미를 표현하고자 할 때는 정관사 the를 붙여야 한다. 정관사는 다시 설명하겠지만 선발대회에서 선발된 특정한 것들을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