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have come as a light

I have come as a light into the world, that whoever believes in me may not remain in the darkness.나는 빛으로 세상에 왔나니 무릇 나를 믿는 자로 어둠에 거하지 않게 하려 함이로라 – 요한복음 12:46

육하원칙으로 궁금증을 해결하시니라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FreeBibleimages :: The Wise Men look for a baby King :: Wise Men travel to Bethlehem to bring gifts for Jesus (Matthew 2:1-12)

부사는 거의 모든 것을 수식한다. 우리말도 마찬가지다. 다음의 예를 보자.

그녀는 걷습니다 아름답게. She walks beautifully. (그녀는 걷는다 (어떻게?) 아름답게)
그녀는 아름답게 걷습니다. She beautifully walks.
아름답게 그녀는 걷습니다. Beautifully she walks.

문법적으로는 우리말이나 영어 다 문제가 없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She walks beautifully.”와 같이 부사는 동사 다음에 오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는 것뿐이다.

부사는 기본적으로 동사를 수식하지만 형용사와 다른 부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It was very good.”에서 very는 형용사 Good을 꾸미고 있으며, “Saul liked him very much” 에서 Very는 또 다른 부사 mush를 수식하고 있다. 반면에 다음의 성경구절처럼 부사가 문장 전체를 수식하기도 한다.

여기서 부사의 쓰임새와 종류를 정리해 두기로 하자.

단순부사동사 뒤에 위치- 동사의 관심사를 보충Where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here, there, near, far, in, out, down, up, over, high, ….
How 양태 부사-모양과 태도 형용사에서 만들어진 모든 부사가 여기에 포함well, slowly, politely, safely
When 때를 나타내는 부사now, then, yesterday, today, tomorrow, early, late, before, ago, ….
동사 앞에 위치- 동사의 의미를 정밀하게빈도를 나타내는 부사always, sometimes, often, rarely, frequently, ….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very, only, little, much, almost, enough, ….
긍정과 부정관련 부사yes, no, not, maybe, perhaps, probably, ….
의문부사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when, where, why, how


  1. 형용사를 이용해 부사 만들기

부사가 없는 경우 우리는 형용사를 가지고 쉽게 부사를 만들어 쓸 수 있다. 예들 들어 Quick이라는 ‘빠른’이라는 형용사에 ‘ly’를 붙이면 ‘빠르게’라는 부사가 된다.

이처럼 형용사에 부사형 어미 [ly]를 붙이면, 우리말의 부사에 해당되는 [이, 히, 기, 게]가 된다. 예를 들어 ‘친절한’이란 뜻의 형용사 kind에 ~ly를 붙여 kindly라 하면 ‘친절하게’라는 뜻의 부사가 된다. 이렇게 형용사를 부사로 전환할 때 철자나 발음상 문제가 있는 경우 예외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형용사 simple은 ~le로 끝나는 단어인데, ~le 바로 앞의 철자가 p로 자음이다. 이렇듯 ~le로 끝나는 형용사 가운데 바로 앞 철자가 자음인 형용사에 ~ly를 붙이면 simplely가 되어 발음이 어려워 진다. l이 이미 있으니 그냥 e빼고 대신 y만 붙이자. noble(고상한)→nobly(고상하게), possible(가능한)→possibly(어쩌면) humble(겸손한)→humbly(겸손하게), simple(솔직한)→simply(솔직히) 등이 그런 예다.

~ic로 끝나는 형용사에도 ~ly를 붙이면 발음이 쉽지 않다. 그래서 ~ly가 아니라 ~ally를 붙여 부사를 만든다. 불규칙이 그냥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예외로 만들어 진다는 이야기다. historic(역사의)→historically(역사적으로), systematic(조직적인)→systematically(조직적으로), critic(비판적인) → critically(비판적으로), emphatic(단호한)→ Emphatically(단호히)

하지만 그래도 늘 예외가 있다는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한다. public(대중의)의 경우에는 단순히 ~ly를 붙이기도 한다. publicly(대중 앞에서, 공공연히) 

마지막으로 ~ue로 끝나는 형용사는 대개 e를 빼고 ~ly를 붙인다는 것도 기억해 두자. true(진실한)→truly(진심으로), due(당연한)→duly(정식으로, 적당하게)



2. 전치사를 이용해 명사를 부사로 만들기

여기서도 명사를 부사로 만들어 주는 중요한 전치사 몇 개를 살펴보고 가기로 하자.

[보유]의 전치사 WITH
with는 ‘~와 함께’라는 의미를 가진 전치사지만 ‘~가지고’ 또는 ‘~으로’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부사를 만든다.

서로 사랑하되 말로 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사랑하자는 말이다. With의 전치사가 명사 ‘words’와 ‘actions’의 앞에 위치하여 ‘말로’ ‘행동으로’라는 부사를 만들고 있다. With 전치사는 특히 추상명사와 함께 with difficulty(힘겹게), with care (주의 깊게, 조심스럽게), with ease (쉽게)와 같은 유용한 관용구를 만든다.


[도우미] 전치사 BY: by는 수동문에 등장해서, 행위자를 지정할 때 우리말의 “~ 의해서” 라고 해석하고 장소를 표현할 때는 “~ 곁에” 라는 의미로써 사용된다. 시간상으로는 “~ 까지는”이라는 의미로 쓰이며 도구나 수단의 의미로 “~ 로” 라는 말로 번역된다. 이 모든 것을 하나의 키워드로 정리하면 [옆에서 도와주는]이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by them은 규례와 법에 의지하여 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 밖에 전치사 도우미 by가 쓰는 표현으로 by bus(버스의 도움으로-버스를 타고), take her by the hand(손의 도움으로 그녀를 잡고 – 그녀의 손을 잡고) 등이 있다.

[원료] [재료]의 전치사 OF, FROM, IN

이 세 전치사는 모두 <~으로> 라는 재료의 의미를 표현해야 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치사다. 여기서 조금씩 그들의 차이를 살펴보자.

Of는 “<~으로>만들다”는 표현에 사용되지만 그 재료가 다른 물질로 변하지 않는 경우에 쓰이고 있다. Of를 ‘소속의 전치사’라고 했던 말을 기억해 보자. 소속이 잘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다.

반면 from은 재료가 변하는 경우 “<~으로> 만들다”는 표현에 적합하다. 그래서 from을 ‘원천기술의 전치사’라고 부르기로 하자. ~으로(from) 만들거나 시작되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다른 것이 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치사다.

또한 in이라는 전치사는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에서처럼 write, speak, paint, carve 등 창조적인 작업에 사용되는 재료라고 생각해도 좋을 듯하다.



[1] 자기 것이 아니라고 말하다, ~와의 관계를 부인하다, 인연을 끊다

[2] 법령, 율령, 규례

[3] 불안한, 들떠 있는, 수지 못하게 하는

[4] 멍에

[5] 삼가다, 절제하다, 금주하다, Abstain from은 ~을 절제하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6] fermented는 ferment(발효시키다)의 과거분사로 발효된 이라는 형용사로 쓰였다. 따라서 fermented drink는 술을 가리킨다.

[7] 동반하다, 동행하다, 수행하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