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have come as a light into the world, that whoever believes in me may not remain in the darkness.나는 빛으로 세상에 왔나니 무릇 나를 믿는 자로 어둠에 거하지 않게 하려 함이로라 – 요한복음 12:46
육하원칙으로 궁금증을 해결하시니라
Find the full list in the table of contents
Go to English Version
위의 문장은 예수가 이 땅에 오신 목적과 함께 “어떻게?” 왔느냐의 답을 주신다. 한마디로 말하면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예수는 이 세상에 빛으로 왔다는 것이다. 빛은 희망이고 어둠은 절망이다. 믿음은 ‘절망 속에서 희망을 보는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소망이 생긴 것이 아닐까? 요한복음3장 16절은 예수가 온 이유를 영생(eternal life)를 주기 위해서라고 기록하고 있다.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요한복음 3:16)
한편 마태복음 1장 21절에는 죄로부터 구원하기 위해서라고 적고 있다.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 이심이라 하니라 She will give birth to a son, and you are to give him the name Jesus, because he wi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 마태복음 1:21)
이 세 기록을 정리하면 “예수는 우리의 죄를 사하여(save from sins) 주셔서, 어둠 속에서 살지 않게 하며(do not remain in the darkness), 영생(eternal life)을 얻도록 하기 위해 오셨다” 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예수는 어떻게 우리들의 세상으로 오셨을까? 성경에는 보통 사람들처럼 마리아를 통해 인간의 아기로 태어나셨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위의 성경구절은 상징적으로 빛으로 오셨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부사는 거의 모든 것을 수식한다. 우리말도 마찬가지다. 다음의 예를 보자.
그녀는 걷습니다 아름답게. She walks beautifully. (그녀는 걷는다 (어떻게?) 아름답게)
그녀는 아름답게 걷습니다. She beautifully walks.
아름답게 그녀는 걷습니다. Beautifully she walks.
문법적으로는 우리말이나 영어 다 문제가 없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She walks beautifully.”와 같이 부사는 동사 다음에 오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는 것뿐이다.
부사는 기본적으로 동사를 수식하지만 형용사와 다른 부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It was very good.”에서 very는 형용사 Good을 꾸미고 있으며, “Saul liked him very much” 에서 Very는 또 다른 부사 mush를 수식하고 있다. 반면에 다음의 성경구절처럼 부사가 문장 전체를 수식하기도 한다.
Simply let your ‘Yes’ be ‘Yes,’ and your ‘No,’ ‘No’; anything beyond this comes from the evil one.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마태복음 5:37)
여기서 부사의 쓰임새와 종류를 정리해 두기로 하자.
단순부사 | 동사 뒤에 위치- 동사의 관심사를 보충 | Where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 | here, there, near, far, in, out, down, up, over, high, …. |
How 양태 부사-모양과 태도 형용사에서 만들어진 모든 부사가 여기에 포함 | well, slowly, politely, safely | ||
When 때를 나타내는 부사 | now, then, yesterday, today, tomorrow, early, late, before, ago, …. | ||
동사 앞에 위치- 동사의 의미를 정밀하게 |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 | always, sometimes, often, rarely, frequently, …. | |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 very, only, little, much, almost, enough, …. | ||
긍정과 부정관련 부사 | yes, no, not, maybe, perhaps, probably, …. | ||
의문부사 |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 | when, where, why, how |
- 형용사를 이용해 부사 만들기
부사가 없는 경우 우리는 형용사를 가지고 쉽게 부사를 만들어 쓸 수 있다. 예들 들어 Quick이라는 ‘빠른’이라는 형용사에 ‘ly’를 붙이면 ‘빠르게’라는 부사가 된다.
Do your best to come to me quickly.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 디모데후서 4:9)
이처럼 형용사에 부사형 어미 [ly]를 붙이면, 우리말의 부사에 해당되는 [이, 히, 기, 게]가 된다. 예를 들어 ‘친절한’이란 뜻의 형용사 kind에 ~ly를 붙여 kindly라 하면 ‘친절하게’라는 뜻의 부사가 된다. 이렇게 형용사를 부사로 전환할 때 철자나 발음상 문제가 있는 경우 예외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형용사 simple은 ~le로 끝나는 단어인데, ~le 바로 앞의 철자가 p로 자음이다. 이렇듯 ~le로 끝나는 형용사 가운데 바로 앞 철자가 자음인 형용사에 ~ly를 붙이면 simplely가 되어 발음이 어려워 진다. l이 이미 있으니 그냥 e빼고 대신 y만 붙이자. noble(고상한)→nobly(고상하게), possible(가능한)→possibly(어쩌면) humble(겸손한)→humbly(겸손하게), simple(솔직한)→simply(솔직히) 등이 그런 예다.
~ic로 끝나는 형용사에도 ~ly를 붙이면 발음이 쉽지 않다. 그래서 ~ly가 아니라 ~ally를 붙여 부사를 만든다. 불규칙이 그냥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예외로 만들어 진다는 이야기다. historic(역사의)→historically(역사적으로), systematic(조직적인)→systematically(조직적으로), critic(비판적인) → critically(비판적으로), emphatic(단호한)→ Emphatically(단호히)
But Peter insisted emphatically, “Even if I have to die with you, I will never disown[1] you.” And all the others said the same. 베드로가 힘있게 말하되 내가 주와 함께 죽을지언정 주를 부인하지 않겠나이다 하고 모든 제자도 이와 같이 말하니라 – 마가복음 14:31)
하지만 그래도 늘 예외가 있다는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한다. public(대중의)의 경우에는 단순히 ~ly를 붙이기도 한다. publicly(대중 앞에서, 공공연히)
They beat us publicly without a trial, even though we are Roman citizens, and threw us into prison. 로마 사람인 우리를 죄도 정하지 아니하고 공중 앞에서 때리고 옥에 가두었다 – 사도행전 16:37)
마지막으로 ~ue로 끝나는 형용사는 대개 e를 빼고 ~ly를 붙인다는 것도 기억해 두자. true(진실한)→truly(진심으로), due(당연한)→duly(정식으로, 적당하게)
O LORD, truly I am your servant. 여호와여 나는 진실로 주의 종이요-시편 116:16)
2. 전치사를 이용해 명사를 부사로 만들기
여기서도 명사를 부사로 만들어 주는 중요한 전치사 몇 개를 살펴보고 가기로 하자.
[보유]의 전치사 WITH
with는 ‘~와 함께’라는 의미를 가진 전치사지만 ‘~가지고’ 또는 ‘~으로’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부사를 만든다.
Let us not love with words or tongue but with actions and in truth. 우리가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고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자 – 요한일서 3:18)
서로 사랑하되 말로 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사랑하자는 말이다. With의 전치사가 명사 ‘words’와 ‘actions’의 앞에 위치하여 ‘말로’ ‘행동으로’라는 부사를 만들고 있다. With 전치사는 특히 추상명사와 함께 with difficulty(힘겹게), with care (주의 깊게, 조심스럽게), with ease (쉽게)와 같은 유용한 관용구를 만든다.
We moved along the coast with difficulty and came to a place called Fair Havens, near the town of Lasea. 간신히 그 연안을 지나 미항이라는 곳에 이르니 라새아 시에서 가깝더라 -사도행전 27:8)
[도우미] 전치사 BY: by는 수동문에 등장해서, 행위자를 지정할 때 우리말의 “~ 의해서” 라고 해석하고 장소를 표현할 때는 “~ 곁에” 라는 의미로써 사용된다. 시간상으로는 “~ 까지는”이라는 의미로 쓰이며 도구나 수단의 의미로 “~ 로” 라는 말로 번역된다. 이 모든 것을 하나의 키워드로 정리하면 [옆에서 도와주는]이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ep my decrees[2] and laws, for the man who obeys them will live by them. I am the LORD. 너희는 내 규례와 법도를 지키라 사람이 이를 행하면 그로 말미암아 살리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 레위기 18:5)
여기서 by them은 규례와 법에 의지하여 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You will live by the sword and you will serve your brother. But when you grow restless[3], you will throw his yoke[4] from off your neck.” 너는 칼을 믿고 생활하겠고 네 아우를 섬길 것이며 네가 매임을 벗을 때에는 그 멍에를 네 목에서 떨쳐버리리라 하였더라 – 창세기 27:40)
그 밖에 전치사 도우미 by가 쓰는 표현으로 by bus(버스의 도움으로-버스를 타고), take her by the hand(손의 도움으로 그녀를 잡고 – 그녀의 손을 잡고) 등이 있다.
It will not be like the covenant I made with their forefathers when I took them by the hand to lead them out of Egypt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열조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그들과 맺은 언약과 같지 아니하도다 – 히브리서 8:9)
[원료] [재료]의 전치사 OF, FROM, IN
이 세 전치사는 모두 <~으로> 라는 재료의 의미를 표현해야 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치사다. 여기서 조금씩 그들의 차이를 살펴보자.
Of는 “<~으로>만들다”는 표현에 사용되지만 그 재료가 다른 물질로 변하지 않는 경우에 쓰이고 있다. Of를 ‘소속의 전치사’라고 했던 말을 기억해 보자. 소속이 잘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다.
The head of the statue was made of pure gold, its chest and arms of silver, its belly and thighs of bronze(그 우상의 머리는 순금이요 가슴과 두 팔은 은이요 배와 넓적다리는 놋이요 – 다니엘 2:32)
반면 from은 재료가 변하는 경우 “<~으로> 만들다”는 표현에 적합하다. 그래서 from을 ‘원천기술의 전치사’라고 부르기로 하자. ~으로(from) 만들거나 시작되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다른 것이 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치사다.
He must abstain[5] from wine and other fermented[6] drink and must not drink vinegar made from wine or from other fermented drink.( 포도주와 독주를 멀리하며 포도주로 된 초나 독주로 된 초를 마시지 말며 – 민수기 6:3)
또한 in이라는 전치사는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에서처럼 write, speak, paint, carve 등 창조적인 작업에 사용되는 재료라고 생각해도 좋을 듯하다.
And these signs will accompany[7] those who believe: In my name they will drive out demons; they will speak in new tongues.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 – 마가복음 16:17)
[1] 자기 것이 아니라고 말하다, ~와의 관계를 부인하다, 인연을 끊다
[2] 법령, 율령, 규례
[3] 불안한, 들떠 있는, 수지 못하게 하는
[4] 멍에
[5] 삼가다, 절제하다, 금주하다, Abstain from은 ~을 절제하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6] fermented는 ferment(발효시키다)의 과거분사로 발효된 이라는 형용사로 쓰였다. 따라서 fermented drink는 술을 가리킨다.
[7] 동반하다, 동행하다, 수행하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