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pent my whole life trying not to be careless

단순함의 법칙으로 글 연결하기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지금까지 만들어진 영화 중 최고의 영화는 어떤 영화일까? 최고의 영화는 각자의 우리들의 마음 속에 있다. 그래도 부득이 그 순위를 매겨야 한다면 관객수나 흥행수입, 영화관련 수상 경력 또는 영화전문기관이 집계한 점수 등이 필요할 것이다. 결국은 단 하나의 기준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1939년 개봉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전분야에서 톱을 달리며 흥행순위 1위를 33년간 지켜왔다. 이 기록을 깬 영화가 1972년 제작된 <대부 The Godfather>다. 33년을 지켜온 1위의 아성을 깰 정도로 <대부>는 대단히 성공적인 작품이었다.

이런 <대부>에 대적할 만한 영화는 아카데미 수상 기록에서는 <벤허 Ben-hur>, 흥행수입에서는 <타이타닉(Titanic, 1997)> 정도이다. 그럼에도 영화 <대부>는 당분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남아 있을 것이다.    

다음은 대부 돈 콜레오네와 아들 마이클이 나누는 대사다.

Don Corleone: I hope you don’t mind the way I keep going over this Barzini business. 나와 바지니 사이의 문제에 대하여 신경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Michael: No, not at all. 네 아버지를 믿습니다.

Don Corleone: It’s an old habit. I spent my whole life trying not to be careless. Women and children can afford to be careless, but not men. 오랜 습관이다. 난 평생 방심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지. 여자와 아이들은 경솔할 수 있지만, 남자는 안돼.


우리는 명사절, 형용사절 또는 부사절을 만들어 좀 더 복잡한 영어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문장이 길어지다 보면 표현이 혼란스럽거나 복잡해 지는 단점이 있다. 이제 긴 문장을 분사구문을 이용해 다시 단순화시키는 일을 해보자. 단순할수록 더 좋은 표현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우리는 단순함이라는 원칙을 강조해오지 않았는가?  

분사는 쉽게 동사에 “~ing” 혹은 “~ed”등 꼬리표를 붙여서 만든 형용사라고 정의했었다. 이렇게 변장한 형용사 역시 다른 형용사가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이런 분사를 이용해 긴 문장을 간단하게 만드는 표현을 살펴보기로 하자. 영어문법에서는 이런 문장을 분사구문이라고 부른다.

분사구문이란 분사를 이용해「접속사+주어+동사」의 부사절을 분사로 시작하는 부사구로 바꾼 것이다. 비교적 긴 절을 비교적 짧은 구로 바꾸었으니 문장 자체가 짧아지고 단순해 진다. 위에서 예를 든 대부의 다음의 대사를 보자.

자신의 일생을 방심하지 않으려 노력하며 지냈다는 말이다. 표현이 복잡해 보이지만, 우리의 영어 원칙에 의거하면 별로 어려울 것이 없다. 우선 대부 돈 콜레오네는 우선 자신은 모든 인생을 소비했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듣는 사람은 ‘어떻게’와 같은 궁금증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래서 돈 콜레오네는 ‘방심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라고 그 궁금증을 풀어준다.

이처럼 ‘어떻게?’라는 하나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방심하지 않으려 노력하며”라는 의미의 ‘trying not to be careless’가 분사구문이다. 이 말을 ‘~하면서’의 뜻을 가진 접속사를 이용해 표현하면 “as I was trying not to be caress’가 된다. <대부>의 돈 콜레오네는 자신의 일생을 방심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며 살았다고 이야기한다. 반면 다음의 <태양 없이>의 내레이터는 ‘기억’이라는 인간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살겠다고 말하고 있다.

<쇼생크 탈출>에서 듀프레인 하던 대사 “Get busy living or get busy dying.”도 그런 분사구문을 이용한 표현이다. 우선 바쁘게 움직여라 ‘Get busy’라고 말한 후 ‘어떻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한다. Living 살면서 또는 dying 죽으면서. 문법적인 설명이 없이도, 그냥 영어를 하는 사람들이 순서대로 궁금증을 풀어가면 되는 문장이다. 즉 난 내 인생을 ‘살았어’ 또는 ‘살 거야’ 라고 이야기 한 후에 ‘어떻게’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설명을 붙이면 된다는 이야기다.

굳이 문법적인 설명해야 한다면 분사구문의 분사는 「접속사+주어+동사」의 긴 표현을 압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분사구문은 접속사가 사라짐으로써 원래의 부사절보다 단순한 문장이 된다. 어려운 점은 사라진 접속사의 의미를 앞뒤 문맥을 보아 추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보통은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등의 부사절을 줄인 것으로 ‘~하는 때에’, ‘~한 후에’, ‘~하면서’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문장 가운데 위치한 ‘looking back’라는 분사구문은 ‘as I look back’ 또는 ‘after I look back’이라는 표현을 줄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돌아보면서” 또는 “돌아보고 나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분사구문을 사용하면 표현이 단순해져 대화를 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위의 예문에 나오는 분사구문 ‘risking ~’와 ‘thinking ~’은 모두 ‘~하면서’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너는 위험을 무릅쓰고(risking) 그 곳(there)에 있는 동안 우리는 생각하면서(thinking) 이 곳(here)에 있겠다는 말이다.

Generally, Frankly, Strictly speaking & Speaking of which

분사구문이 진화해 관용적인 표현이 된 Generally speaking (일반적으로 말해), Frankly speaking (솔직히 말해서), Strictly speaking (엄격히 말해서) Speaking of which(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등도 대화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문장을 부드럽게 연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들이 전치사처럼 쓰이는 경우가 있어서 전치사 용법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기는 하지만, 우리의 목적이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지 용어보다는 그 쓰임새에 집중하도록 하자. 그 쓰임새에 익숙해 지면 의사전달에 있어 매우 효과적일 뿐 아니라 세련된 표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Considering ~ (~을 고려하면)

Depending (~에 따라서, …에 좌우되어)

Regarding(~에 관하여)



Including (~을 포함하여)

영화 <닥터 두리틀>의 주인공 닥터 두리틀이 가진 동물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사실 그의 앵무새 폴리네시아로부터 전수받은 것이다. 다음은 그 폴리네시아가 하는 말이다.

Based on (~.에 근거해 볼 때)

Given(~를 고려해 볼 때)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