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you get the money, you get the power

단순함의 법칙으로 글 연결하기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1] gotta: got to의 줄인 말로 ‘~해야만 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비속어다.


우리가 강조해온 단일 형식 영어문장 구조를 다시 소환해 보자.

S + V + (Who + What) + [Where + Why + How + When]

다짜고짜 주어와 동사로 결론부터 말하고 위의 순서대로 궁금증을 풀어가는 것이 영어다. 명사절은 보통 who와 what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데 사용된다. 반면 부사절은 각각 우리의 <어순식>의 부사전용지역에 위치한 where, why, how, when의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부사절도 결국은 부사다. 그리고 부사절은 아래에 정리된 접속사를 절의 맨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간단히 만들어 낼 수 있다.

유형 접속사
Where그래서 어디서 장소의 부사절Where, Wherever
Why그런데 왜? 원인의 부사절Because(~이기 때문에, 왜냐하면), since, as
How그래서 어떻게? 형태의 부사절As(~한 것 처럼)
그래서 어떻게? 결과의 부사절so that∼may (=in order that∼may). lest∼should(=for fear∼should) , so∼that, such∼that,  so that
When그런데 언제? 시간의 부사절when (∼하면) while (∼하는 동안) as (∼하면서) before (∼하기 전에) after(~한 후에) till (=until) (∼때까지) since (∼이후로) as soon as (∼하자마자)


  1. Where 장소의 부사절

이 문장을 우리의 <어순식>에 따라 쓰면 “We don’t need roads where we’re going.”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길이 필요하지 않아”라고 말한 후 ‘그런 곳이 어딘데?’의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where we are going’이라는 표현을 추가해 준 것이다. 하지만 원래의 대사는 바로 그 장소를 강조하기 위해 문장 앞에 부사절을 위치시켰다.

2. Why 이유·원인의 부사절

3. How 방법과 결과의 부사절
as ~처럼 (as가 시간의 개념과 사용되는 경우는 ~ 하면서 또는 ~이기 때문에)

4. 언제? 시간의 부사절


접속부사


그 밖에 접속사는 아니지만 부사로서 문장을 연결해 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이 있다. 문법책에서는 이런 단어를 접속부사라고 부르며, 단어와 단어 구와 절 또는 절과 절을 연결해 표현을 세련되고 정밀하게 만들어 준다. 그러니까 접속사와 접속부사는 다르다는 이야기다. 접속사는 8품사 중 하나로 구 혹은 절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논의한 위의 부사절을 이끄는 단어들이 접속사다.

접속사는 크게 등위접속사, 상관접속사, 종속접속사로 분류한다. 부사절을 만드는 접속사는 종속접속사에 속한다. 반면 접속 부사는 품사 분류에 있어 접속사가 아니고 부사이기 때문에 의미적으로만 앞 뒤 문장의 흐름을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종류와 예를 들어보자.


반대 의견을 이야기 할 때

however(그렇지만), never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none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yet(~하지만), still(그럼에도) otherwise(그렇지 않으면)



결과에 대해 설명할 때

accordingly(따라서), consequently(결과적으로), hence(따라서), so(그와 같이), therefore(그러므로), thus(그러므로), as a consequence(결과로), as a result(그 결과로) likewise(마찬가지로)



부가적인 설명이나 화제를 전환할 때

further(더 나아가서), furthermore(더욱이), moreover(게다가), above all(무엇보다도), meantime(한편), meanwhile(한편), by the way(그건 그렇고)

그 밖에 앞에서 논의한 여러 접속사와 접속부사들이 결합하여 유용한 표현을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Not only A but also B 는 “A 뿐만 아니라 B 도 역시”라는 말을 쉽게 할 수 있는 표현이 된다. 이런 접속사를 학교에서는 상관접속사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가르치기도 한다. 다음은 영화 <월스트리트>에서 주인공이 텔다 제지의 주주들에게 연설하는 장면이다.


[1] Sift 채로 거르다, 분리하다, 면밀히 조사하다.

[2] 무너진 돌 무더기, 잔해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