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what you think is right.

단순함의 법칙으로 글 연결하기

Go to English Version
Explore the Table of Contents

여러 문장을 다시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단어를 나열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구성요소가 되면 절(clause)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결국은 단어(word)와 구(phrase)처럼 문장의 한 구성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 and, but, or 등의 접속사를 이용해 단어를 나열하는 것처럼 열거하는 표현도 가능하고 또는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우리의 <어순식>에서 하나의 단어처럼 자신의 자리에 위치해서 자신의 역할을 하면 된다. 절이 포함된 문장이 복잡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아래의 어순식은 변함이 없다는 말이다.
  


절(Clause)이 문장의 성분이 되면 명사, 형용사, 부사라는 용어 대신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이라고 부른다. 아니면 그냥 긴 명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라고 생각해도 문제없다. 절이 명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위의 문장형식에 나타나듯, 주어(S)와 누구를/누구에게(Who), 무엇을(What)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다는 말이다. 하나의 단어이든, 여러 단어가 절이나 구를 형성하든 모두 하나의 뭉치가 되어 주어 동사로 말한 이후의 궁금증을 풀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명사절이라면 위의 어순식에서 누구와 무엇이라는 궁금증을 풀어주거나 아예 그 자체가 주어가 될 수 있다. 길어졌을 뿐이니 결국은 명사이기 때문이다.  


명사절

명사절을 만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절 앞에 that을 붙이는 것이다. 카사블랑카에 위치한 한 카페의 주인 릭이 하던 다음의 대사를 떠올려 보자.

위의 대사에서 ‘I think’는 ‘~이라고 생각한다’는 의미를 가진 타동사다. 따라서 ‘think’ 다음에는 목적어가 나와야 한다. 목적어가 되려면 명사나 명사로 변장한 것들이 나와야 하는데, 이 때 필요한 단어가 that과 같은 접속사다.

하지만 보통 대화체에서는 that이 생략되기 때문에, think 다음에 나오는 전체를 명사절로 인식해야만 한다. 아니면 우리가 정의한 영어의 원칙처럼, 주어와 동사 I think(나는 생각한다) 이후에 자연히 나타나는 ‘무엇을’이라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좀 긴 설명을 추가했다고 생각해도 좋다. 다음의 예를 하나 더 보기로 하자.

이렇게 한 문장을 명사로 만들어 사용하는 접속사로 that 이외에 ifwhether 같은 것들이 있다.

If 이하가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를 가진 목적어로 사용되었다. 학교에서는 명사절을 만들 수 있는 방법 또는 명사절의 종류가 5가지가 있다고 가르친다. 관계대명사나 복합 같은 단어가 복잡하게 느껴지면, 단순히 that, if, whether 그리고 의문사가 이끄는 절 등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접속사that
whether, if.whether, if
의문사절who, where, why, how, where
what 관계대명사what
복합관계대명사whoever, whatever, whichever


위 문장에서 주어는 ‘What we’ve got here’이다. 명사절이니까 당연히 주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명사절 ‘what’은 당연히 목적어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음의 대사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서 샐리가 식당에서 장난으로 절정에 이르는 소리를 내자 어느 노부인이 샐리와 같은 음식을 달라고 한다. ‘what she’s having’이 동사 ‘have’의 목적어다.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도 되고 보어의 역할도 하는 다음의 예를 보자.

위에서 정리한 것처럼 의문사가 명사절을 만들어 주어가 되고 목적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영화 Forrest Gump는 주인공 엄마의 말을 기억하며 시작한다.

what you think is right & how to do

의문사가 포함된 명사절을 [의문사 + to 부정사]로 압축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동사가 사라졌으니 이제 절이 아니라 구가 된 셈이기는 하다. 그래서 명사구라고 부른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