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자음 발음 정복하기

여러분, 영어 단어를 읽을 때 “이거 어떻게 발음해야 하지?” 하고 갸우뚱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분명 알파벳은 아는데, 막상 소리 내려고 하면 우리말과는 너무 달라서 당황스러울 때가 많아요. 특히 영어 자음은 우리말 자음과 비슷해 보이면서도 결정적으로 다른 점들이 많아서, 정확한 발음을 익히는 것이 영어 실력 향상의 첫걸음이랍니다! 오늘은 영어 자음 발음의 비밀을 함께 파헤쳐보고, 어떻게 하면 더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지 그 팁들을 대방출할게요!

1. 영어 발음의 첫 번째 관문: “스펠링≠소리”, 발음 기호를 믿으세요!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실! 영어는 안타깝게도 스펠링(철자)과 소리가 항상 똑같이 맞아떨어지지 않는, 약간은 비논리적인 언어예요. 우리말은 ‘가’라고 쓰면 항상 /가/ 소리가 나지만, 영어는 같은 ‘a’라도 단어에 따라 /애/, /아/, /어/, /에이/ 등등 정말 다양한 소리로 변신하죠. 자음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영어를 배울 때는 반드시 발음 기호(IPA)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해요. 발음 기호는 마치 소리의 약도와 같아서, 우리가 정확한 발음으로 가는 길을 안내해 준답니다. “모음의 소리는 많지만, 그래도 자음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 같아요”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음 역시 우리말과 다른 미묘한 차이들이 많아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2. 영어 자음 발음, 이것만은 기억하자!

영어 자음을 우리말 자음처럼 발음하면 원어민에게 어색하게 들리거나, 심지어 다른 단어로 오해받을 수도 있어요. 몇 가지 핵심 유의사항을 꼭 기억해주세요!

  • “시동을 걸어라!” – 영어 자음은 힘차게!
    • 우리말 자음은 비교적 부드럽게 소리 나는 경우가 많지만, 영어 자음, 특히 어떤 소리들은 마치 빵빵한 풍선이 터지듯이, 입술이나 혀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힘차게 터뜨리면서 내야 하는 소리들이 많아요. (예: /b/, /p/, /d/, /t/, /g/, /k/)
    • 연습할 때는 과장되게, 입 모양과 혀의 위치를 정확하게 만들어서 소리가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요. 200% 과장해서 연습해야 실제 대화에서 50%라도 자연스럽게 나온답니다!
    • 예시: B 발음은 그냥 ‘비읍’이 아니라, 입술을 꽉 다물었다가 “브!” 하고 터뜨리듯이! P 발음도 마찬가지로 “프!” 하고 강하게!
  • “성대를 울려라!” – 유성음과 무성음의 결정적 차이!
    • 우리말의 ‘ㅂ, ㄷ, ㄱ, ㅅ, ㅈ’ 등은 대부분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에요.
    • 하지만 영어에는 이 무성음들과 짝을 이루는 유성음(성대가 울리는 소리)이 존재하며,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 특히 주의! 우리말의 ‘ㅂ, ㅈ, ㄷ, ㄱ’에 해당하는 영어의 b, j(/dʒ/), d, g는 모두 유성음이에요. 즉, 이 소리들을 낼 때는 성대가 “부르르~” 하고 울려야 해요.
      • bus를 우리말 ‘버스’처럼 무성음으로 발음하면 /pʌs/(고름)처럼 들릴 수도 있어요! /bʌs/는 성대를 울리면서 “브어스” 느낌으로!
      • game도 그냥 ‘게임’이 아니라, 성대를 울리면서 “그에임” 느낌으로!
    • 무성음 vs 유성음 짝꿍: /p/-/b/, /t/-/d/, /k/-/g/, /f/-/v/, /s/-/z/, /ʃ/(쉬)-/ʒ/(쥐), /tʃ/(취)-/dʒ/(쥬), /θ/(쓰)-/ð/(드) – 이 짝꿍들은 입 모양이나 혀 위치는 거의 같지만, 성대가 울리느냐 안 울리느냐의 차이만 있답니다!

3. 영어의 ‘받침’ 논란: 있다? 없다? (음절 구조와 끝소리 처리)

“영어에는 받침이 없다면서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예요!

  • 우리말의 받침: ‘강’, ‘산’, ‘들’처럼 자음+모음+자음(받침)이 하나의 음절을 이루며, 받침 소리가 명확하게 끝을 맺죠.
  • 영어의 끝자음: 영어도 cat /kæt/, hand /hænd/, milk /mɪlk/처럼 단어 끝에 자음이 와요. 이게 우리말의 받침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결정적인 차이가 있어요.
    • ‘으’ 금지!: 영어 끝자음은 절대 우리말처럼 뒤에 ‘으’ 모음을 붙여서 ‘캐트(x)’, ‘핸드(x)’, ‘밀크(x)’라고 발음하면 안 돼요!
    • 소리의 잔향, 그리고 연결: 영어 끝자음은 소리가 완전히 뚝 끊어지는 게 아니라, 아주 약하게 소리의 잔향이 남거나, 다음 단어와 부드럽게 연결될 준비를 해요. (이것이 바로 ‘연음’의 기초가 된답니다!)
      • cat: ‘캐앝’하고 /t/ 소리를 낼 듯 말 듯 아주 약하게.
      • hand: ‘핸’하고 /d/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거나 아주 살짝.
      • 중요: 영어는 단어 끝 소리를 명확히 내주는 연습이 필요해요. “타임”하고 끝나버리는 게 아니라, time이라면 “타이므”처럼 마지막 스펠링까지 소리가 포물선을 그리며 이어지는 느낌이죠.
  • 영어는 한 음절 단어가 많아요!
    strike (스트라이크 – 5음절) vs /straɪk/ (1음절)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각 자음 뒤에 불필요한 모음(‘으’ 등)을 붙이지 않고, 여러 자음이 모음 하나를 중심으로 뭉쳐 한 번에 소리 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우리 귀에는 더 빠르고 콤팩트하게 들리는 거죠.

4. 영어 자음, 소리의 종류별로 파헤치기!

영어 자음은 소리가 만들어지는 방식(조음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이 분류를 알면 각 자음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 1. 폐쇄음 (Plosive / Stop Sounds) – 빵! 터지는 소리:
    • 특징: 입안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한 번에 “빵!”하고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예요.
    • 자음: /p/, /b/, /t/, /d/, /k/, /g/
    • 발음 팁: /p/, /t/, /k/는 숨소리가 강하게 터지는 무성음, /b/, /d/, /g/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숨이 덜 터지면서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에요.

  • 2. 마찰음 (Fricative Sounds) – 스르륵~ 바람 새는 소리:
    • 특징: 입안의 통로를 좁혀서 공기가 그 좁은 틈을 비집고 나오면서 “스르륵~”하고 마찰을 일으키며 나는 소리예요.
    • 자음: /f/, /v/, /θ/, /ð/, /s/, /z/, /ʃ/, /ʒ/, /h/
    • 발음 팁: /f/, /θ/, /s/, /ʃ/, /h/는 무성음, /v/, /ð/, /z/, /ʒ/는 유성음이에요. 혀나 입술의 위치가 아주 중요하답니다! (예: /f/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살짝, /θ/는 혀를 이 사이에 살짝)

  • 3. 파찰음 (Affricate Sounds) – 막았다가 스르륵~ 조합된 소리:
    • 특징: 폐쇄음처럼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는 동시에 마찰음처럼 좁은 틈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두 가지 방식이 합쳐진 소리예요.
    • 자음: /tʃ/ (chair의 ch), /dʒ/ (jump의 j, g)
    • 발음 팁: /tʃ/는 무성음, /dʒ/는 유성음이에요. /tʃ/는 ‘ㅊ’보다 강하게, /dʒ/는 ‘ㅈ’보다 울림 있게!

  • 4. 비음 (Nasal Sounds) – 음~ 코로 나오는 소리:
    • 특징: 입안의 통로는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음~”하고 울리는 소리예요.
    • 자음: /m/, /n/, /ŋ/ (sing의 ng)
    • 발음 팁: 세 소리 모두 유성음이에요. /ŋ/은 우리말 ‘ㅇ’ 받침과 비슷하지만, 단어 중간이나 끝에만 온답니다.

  • 5. 유음 (Liquid Sounds) – 르르륵~ 물 흐르듯 부드러운 소리:
    • 특징: 혀의 위치에 따라 공기가 입안에서 물처럼 부드럽게 흘러나가면서 나는 소리예요.
    • 자음: /l/, /r/
    • 발음 팁: 이 두 소리는 한국인에게 정말 어렵죠! /l/은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r/은 혀를 뒤로 말아 올리되 입천장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자세한 건 아래에서!)

  • 6. 활음 (Glide / Semivowel Sounds) – 모음인 듯 모음 아닌 모음 같은 너!
    • 특징: 모음과 아주 비슷한 방식으로 소리가 나지만, 모음처럼 길게 늘어지지 않고 자음처럼 빠르게 다음 소리로 미끄러지듯 연결되는 소리예요.
    • 자음: /w/ (water의 w), /j/ (yes의 y)
    • 발음 팁: /w/는 입술을 ‘우’처럼 동그랗게, /j/는 입 모양을 ‘이’처럼 옆으로 벌렸다가 빠르게 다음 모음으로!




5. 영어 자음 발음, 하나하나 정복해 보자!

이제 각 자음 소리들을 발음 기호와 함께 살펴보고,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특히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자음발음 기호발음 방법 (간단 설명)예시 단어 (발음 기호)한국어 비슷한 발음 (참고용)유의점 및 추가 설명
B/b/폐쇄음 (유성)boy /bɔɪ/, big /bɪɡ/“ㅂ” (보이)입술 꽉 다물었다 터뜨리며 성대 울림! P(/p/)와 혼동 주의. 시작할 때 ‘읍’ 하는 느낌으로 시동 걸기.
P/p/폐쇄음 (무성)pen /pen/, top /tɑːp/“ㅍ” (펜)입술 꽉 다물었다 숨소리 강하게 터뜨림! B(/b/)보다 더 강하게. 시작할 때 ‘읍’ 느낌으로 시동. 강세 뒤에 오면 ‘ㅃ’처럼 들리기도 함 (happy).
D/d/폐쇄음 (유성)dog /dɔːɡ/, sad /sæd/“ㄷ” (도그)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막았다 터뜨리며 성대 울림! T(/t/)와 혼동 주의. ‘읃’ 시동.
T/t/폐쇄음 (무성)top /tɑːp/, cat /kæt/“ㅌ” (탑)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막았다 숨소리 강하게 터뜨림! D(/d/)보다 강하게. ‘읕’ 시동. (모음 사이에서는 /ɾ/ 소리로 변하기도 함 – 유화 현상)
G/g/폐쇄음 (유성)go /ɡoʊ/, bag /bæɡ/“ㄱ” (고)혀 뒷부분을 연구개에 대고 막았다 터뜨리며 성대 울림! K(/k/)와 혼동 주의. ‘윽’ 시동. (n 뒤에서는 /ŋg/로 발음되기도 함: finger)
K/k/폐쇄음 (무성)kite /kaɪt/, back /bæk/“ㅋ” (카이트)혀 뒷부분을 연구개에 대고 막았다 숨소리 강하게 터뜨림! G(/ɡ/)보다 강하게. ‘윽’ 시동. 강세 뒤, 특히 끝소리는 약하게 ‘크’만. (c, ck, ch도 /k/ 소리)
F/f/마찰음 (무성)fish /fɪʃ/, coffee /ˈkɔːfi/“ㅍ”과 비슷 (피쉬)윗니로 아랫입술 살짝 물고(또는 대고) 바람만! 혀 깨물기 불필요. V(/v/)와 짝꿍. PH도 /f/ 소리. 공기가 새는 느낌으로 세게.
V/v/마찰음 (유성)van /væn/, love /lʌv/“ㅂ”과 “ㅍ” 중간 (반)윗니로 아랫입술 살짝 물고(또는 대고) 성대 울림! F(/f/)와 입 모양 같음. 절대 입술 닿으면 안 됨 (네버x -> 네ᶠ버).
TH/θ/마찰음 (무성)think /θɪŋk/, bath /bæθ/“ㅆ” 또는 “ㄸ” 비슷 (띵크)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살짝 내밀고 바람만! ‘ㅅ’처럼 부드럽게. S(/s/)와 구분 필수.
TH/ð/마찰음 (유성)this /ðɪs/, that /ðæt/“ㄷ” 또는 “ㄸ” 비슷 (디스)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살짝 내밀고 성대 울림! ‘ㄷ’처럼. Z(/z/) 또는 D(/d/)와 구분. (주로 관사, 대명사, 접속사에 많음)
S/s/마찰음 (무성)sun /sʌn/, bus /bʌs/“ㅅ” (선)혀끝을 윗잇몸 가까이 두고 좁은 틈으로 세게 바람! 뱀 소리(쓰으~). Z(/z/)와 짝꿍. (c가 e, i, y 앞에 올 때도 /s/ 소리: city, cent)
Z/z/마찰음 (유성)zebra /ˈziːbrə/, zoo /zuː/“ㅈ”과 비슷 (지브라)S와 같은 입 모양, 성대만 울림! 벌 소리(즈으~). 부드러운 ‘즈’ 소리. (s가 유성음 사이에 오거나 복수형미 -s일 때 /z/ 소리: dogs, is)
SH/ʃ/마찰음 (무성)she /ʃiː/, fish /fɪʃ/“쉬” (쉬)입술을 둥글게 앞으로 내밀고 ‘쉬~’ 소리! ZH(/ʒ/)와 짝꿍. (ch가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일 때도 /ʃ/: machine, chef)
ZH/ʒ/마찰음 (유성)measure /ˈmeʒər/, vision /ˈvɪʒn/“ㅈ”과 비슷 (메저)SH와 같은 입 모양, 성대만 울림! 부드러운 ‘쥬’ 또는 ‘지’ 소리. (주로 -sure, -sion에 많음)
CH/tʃ/파찰음 (무성)chair /tʃer/, teach /tiːtʃ/“ㅊ” (체어)혀가 천장에 닿았다 떨어지며 ‘취’ 소리! 강한 ‘ㅊ’ 소리. J(/dʒ/)와 짝꿍. (tch도 /tʃ/: watch)
J/dʒ/파찰음 (유성)jump /dʒʌmp/, joy /dʒɔɪ/“ㅈ”과 “ㅊ” 중간 (점프)CH와 비슷한 입 모양, 성대만 울림! ‘ㅈ’과 ‘ㅉ’ 중간 느낌. (g가 e, i, y 앞에 올 때도 /dʒ/: gentle, gym)
M/m/비음 (유성)mom /mɑːm/, summer /ˈsʌmər/“ㅁ” (맘)입술을 닫고 코로 “음~” 소리! (mb 끝 b는 묵음: comb, climb)
N/n/비음 (유성)nice /naɪs/, pen /pen/“ㄴ” (나이스)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코로 “은~” 소리! (kn 시작 k는 묵음: know, knife)
NG/ŋ/비음 (유성)song /sɔːŋ/, king /kɪŋ/“ㅇ” 받침 (송)혀 뒷부분을 연구개에 대고 코로 “응~” 소리! 단어 처음에는 오지 않음. (n이 k나 g 앞에 오면 /ŋ/ 소리: think /θɪŋk/, finger /ˈfɪŋɡər/)
L/l/유음 (유성)love /lʌv/, call /kɔːl/“ㄹ” (럽)혀끝을 윗잇몸에! (Light L: 단어 앞, 혀끝 정확히 터치. Dark L: 단어 끝, 혀 뒤쪽을 올리며 ‘을’ 느낌, 혀끝 살짝) R(/r/)과 발음 확실히 구분!
R/r/유음 (유성)red /red/, car /kɑːr/한국어 ‘ㄹ’과 다름 (혀 말기)혀를 뒤로 말아 올리되 입천장에 닿지 않게! 입술 살짝 둥글게. L(/l/)과 절대 혼동 금지! (wr 시작 w는 묵음: wrong, write)
W/w/활음 (유성)water /ˈwɔːtər/, window /ˈwɪndoʊ/“우” (워터)입술을 ‘우’처럼 동그랗게 오므렸다가 폄! ‘우~’ 하고 시동 거는 느낌. Y(/j/)와 짝꿍. (wh에서 h가 묵음일 때: what, when)
Y/j/활음 (유성)yes /jes/, yellow /ˈjeloʊ/“이” (예스)입 모양을 ‘이’처럼 옆으로 벌렸다가 폄! ‘이~’ 하고 시동 거는 느낌. W(/w/)와 짝꿍. (때로는 모음 소리 /ɪ/나 /aɪ/로도 남: gym, fly)
H/h/마찰음 (무성)hat /hæt/, hello /həˈloʊ/“ㅎ” (해트)목구멍에서 바람 나오는 소리! 성대 울림 없음. (wh에서 w가 묵음일 때: who, whole)
C/k/ 또는 /s/폐쇄음 또는 마찰음 (무성)cat /kæt/, city /ˈsɪti/“ㅋ” 또는 “ㅅ”e, i, y 앞에서는 /s/ (소프트 C), 그 외에는 /k/ (하드 C).
Q/kw/폐쇄음+활음 (무성)queen /kwiːn/, quick /kwɪk/“ㅋ+우” (퀸)항상 u와 함께 쓰여 /kw/ 소리!
X/ks/ 또는 /gz/폐쇄음+마찰음 (무성/유성)box /bɑːks/, exam /ɪɡˈzæm/“ㅋ+ㅅ” 또는 “ㄱ+ㅈ”강세 없는 모음 앞에서는 /gz/ (유성), 그 외에는 /ks/ (무성). 단어 시작 시 /z/ (xylophone).



👉 하이빅쌤의 강의 보기 🎥 어른들을 위한 파닉스 자음편(B~Z)